대표적 '매파', 20일 임기 만료
환율 급등엔 "경제 상황 우려할 수준 아니다"
20일 퇴임하는 조윤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 없다”고 신중한 목소리를 냈다.
조 위원은 16일 한은 별관 2층에서 가진 퇴임 기자간담회에서 “경제 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이고, 여러 불확실성이 많은 데다 금융시장이 지난 수개월간 완화적 흐름을 이미 이어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2020년 4월 취임해 4년의 임기를 수행한 조 위원은 금통위 내 대표적 매파(통화긴축 선호) 인사로 분류된다. 첫 동결 결정이 내려진 지난해 2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도 ‘0.25%포인트 인상’ 소수의견을 냈다.
금리를 낮추려면 무엇보다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안정될 것이란 확신이 들 때’라는 중요한 가정이 만족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직전 금통위 직후 이창용 한은 총재가 언급했듯 하반기 월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를 향하는지가 관건으로 지목됐다. 조 위원은 “통화정책은 선제적이어야 하기 때문에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날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00원 선을 뚫는 등 환율 급등세가 이어지는 데 대해선 “금리 인하 지연 기대로 인한 미국 달러화 강세가 가장 큰 요인”이라며 “중동 정세가 불안해져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통화 가치가 조금 더 약화했다”고 진단했다. 다만 조 위원은 “최근 경상수지 흑자 흐름과 외환보유고 등을 고려할 때 우리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은 그렇게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했다.
통화정책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쓴소리’도 남겼다. 한은의 정책 수단이 다른 주요국 중앙은행에 비해 제한돼 있다는 지적이다. 조 위원은 “국내 금융시장의 금리와 유동성은 한은 기준금리뿐 아니라 미국 통화정책에 큰 영향을 받고, 금융당국의 신용·감독 정책, 정책금융기관의 대출행위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은의 통화정책과 정부 정책이 보다 잘 조율되도록 노력을 지속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