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아내가 지킨 수첩에서 46년 만에...박목월 미발표 시 166편 공개됐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아내가 지킨 수첩에서 46년 만에...박목월 미발표 시 166편 공개됐다

입력
2024.03.12 18:30
수정
2024.03.13 19:14
6면
0 0

장남 박동규 서울대 교수 등 유작품발간위
친필 노트에 미발표 시 166편 발굴해 공개
서정시인뿐 아니라 다양한 문학 세계 비춰

박목월 시인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가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박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 공개 기자회견에 앞서 아버지의 노트를 들어보이고 있다. 이날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는 박 교수 자택에서 발견된 시인의 미발표 시 290편 가운데 166편을 선별해 공개했다. 연합뉴스

박목월 시인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가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박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 공개 기자회견에 앞서 아버지의 노트를 들어보이고 있다. 이날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는 박 교수 자택에서 발견된 시인의 미발표 시 290편 가운데 166편을 선별해 공개했다. 연합뉴스

‘오늘은……/참된 詩人(시인). 참된 詩人이/되어보리라. 이 어리고 측은한/소망을/만인의 가슴에 꿈을 나누고/慰安(위안)을 베풀고/그 가슴을 내 가슴처럼 드나드는./거리에 나서면/어린 것의 벗이 되고(하략)’

자연을 노래한 서정시인 박목월(1915~1978)의 미발표 육필 시 ‘무제’의 한 대목이다. 시 쓰기라는 행위, 시인의 업, 이름 없는 동시대인들에 대한 관심과 고민이 엿보인다. 박목월은 사진작가 육명심이 “이른 새벽 영롱하게 맺히는 이슬만 받아먹고 사는 어떤 먼 나라 사람일 것 같다”고 묘사한 ‘청록파’의 일원이다. 그의 다른 면모를 보여 주는 미발표 시 166편이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됐다. 조만간 대중에게도 선보일 예정이다.

기형도, 백석 등의 미공개 시가 시인이 세상을 떠난 뒤 세상의 빛을 보는 경우는 있었지만 이처럼 대규모로 발굴된 건 이례적이다. 박목월의 장남 박동규(85) 서울대 명예교수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유작품발간위원회)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돌아가시는 순간까지 박 시인의 전 생애는 시로 얽히지 않은 시간이 없었다는 것만은 기억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남편의 노트 간직한 부인의 애정이 빛 됐다

박목월 시인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와 박목월유작품박간위원회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 시인의 육필 노트에 담긴 시작품 166편을 공개했다. 사진은 시인의 비공개 시작인 '어머니에게'. 뉴시스

박목월 시인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와 박목월유작품박간위원회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 시인의 육필 노트에 담긴 시작품 166편을 공개했다. 사진은 시인의 비공개 시작인 '어머니에게'. 뉴시스

이날 공개된 작품은 경북 경주 동리목월문학관에 유족이 기증한 노트 18권과 박 교수의 자택에 있던 노트 62권에서 '발굴'됐다. 1939년 23세 때 ‘문장’을 통해 등단한 이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평생에 걸쳐서 남긴 창작의 기록이다. 유작품발간위원회는 완전한 시 형태를 갖춘 시 318편 가운데 문학사적 의미와 완성도가 있는 166편을 추렸다.

박목월 시인과 부인 유익순 여사의 생전 모습. 한국일보 자료사진

박목월 시인과 부인 유익순 여사의 생전 모습. 한국일보 자료사진

하마터면 역사의 저편에 묻혔을 작품에 빛을 비춘 건 박목월의 부인 고(故) 유익순 여사다. 한국전쟁 등 굴곡진 역사의 틈바구니에서 서울, 대구, 경주 등을 옮겨 다니면서도 그는 남편의 노트를 각별히 챙겼다. 손상될까 보자기에 꽁꽁 싸매서 천장 깊숙이 숨겨둔 덕에 집에 도둑이 들었을 때도 무사했다. 박 교수조차 “20년 전 어머니가 돌아가신 이후로도 존재를 몰랐던” 노트였다.

스승의 집에서 ‘보자기에 싸인 의문의 노트’를 눈여겨본 박 교수의 제자 우정권 단국대 교수의 제안으로 미발표 작품의 존재가 확인됐다. 우 교수는 지난해 8월 유성호 한양대 교수, 방민호 서울대 교수 등 동료 학자들과 유작품발간위원회를 꾸려 시를 선별했다.

“한국 시문학사, 다시 써야 할 수도”

박목월 시인. 한국일보 자료사진

박목월 시인. 한국일보 자료사진

‘나그네’ 를 비롯해 널리 읽히는 박목월의 시는 “현실에서 초연한 태도로 자연에 대한 시를 썼다”는 평가를 받았다. 새로 발굴된 166편의 시풍은 결이 다르다. 동시가 60편이고, 해방, 전쟁, 근대화, 종교 등을 원류로 삼은 작품도 여럿이다. 형식도 장시·연작시 등으로 다양하고 실험적이다.

우 교수는 “많은 독자가 목가적이고 서정적인 시로 박 시인을 알고 있지만, 새로 발굴된 시에선 시대적 상황이나 예리한 현실감각 등을 드러낸다”며 “한국 시문학사를 다시 써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박목월은 생전 작품을 발표할 때마다 여러 차례의 퇴고를 거치고 원고지에 완성된 시를 옮기는 순간까지도 시어를 고심했다. 미발표 시를 내놓기까지 유족의 고민이 적지 않았던 이유다. 박목월이라는 명성에 누가 될 수 있어서다. 박 교수는 “(아버지가) ‘뭐하러 했노’ 그러실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겁도 난다”라고 말했다. 방민호 교수는 “(박 시인이) 63세로 너무 일찍 갑작스럽게 돌아가셔서 발표를 염두에 뒀던 작품도 많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목월 시인의 장남 박동규(왼쪽 네 번째) 서울대 명예교수와 박목월유작품박간위원회 위원장 우정권 단국대 교수, 박덕규 단국대 명예교수, 방민호 서울대 교수, 유성호 한양대 교수, 전소영 홍익대 초빙교수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 시인의 미발표 육필 노트에 담긴 시작품 166편을 공개하고 있다. 뉴시스

박목월 시인의 장남 박동규(왼쪽 네 번째) 서울대 명예교수와 박목월유작품박간위원회 위원장 우정권 단국대 교수, 박덕규 단국대 명예교수, 방민호 서울대 교수, 유성호 한양대 교수, 전소영 홍익대 초빙교수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 시인의 미발표 육필 노트에 담긴 시작품 166편을 공개하고 있다. 뉴시스


전혼잎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