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왜 배두나를? '리움미술관서 최초 개인전' 필립 파레노의 선택
알림

왜 배두나를? '리움미술관서 최초 개인전' 필립 파레노의 선택

입력
2024.03.03 16:00
수정
2024.03.06 17:24
20면
0 0

[리움미술관 필립 파레노 '보이스' 전시]

'현대 설치미술의 대가'라 불리는 필립 파레노의 개인전 '보이스(VOICES)'가 열리고 있는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리움미술관 제공

'현대 설치미술의 대가'라 불리는 필립 파레노의 개인전 '보이스(VOICES)'가 열리고 있는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리움미술관 제공

"전시는 원하시는 곳부터 보시면 됩니다."

알제리 태생의 '설치미술 거장' 필립 파레노(60)의 한국 첫 개인전 '보이스(VOICES)'가 열리는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리움은 2004년 개관 이래 처음으로 전시 1개에 전관을 할애했다. 파레노의 작품 40여 점이 야외, 로비, 전시실 곳곳에 분포돼 있는데, 관람 순서를 알려주는 '화살표'를 찾을 수 없다. 입장권을 들고 "어디가 처음이냐"라 묻자 직원으로부터 "아무 데서나 시작하면 된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이는 철저히 작가가 의도한 바다. 스스로를 '드리프터(drifter·부유하는 사람)'라 칭하는 파레노에게 '부유'는 나 자신으로 존재하는 삶의 태도이자, 지금 이 순간에 머무는 감상 방식이다. "시작도 끝도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부유하는 순간은 온전히 나와 함께 있는 순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도 전시실에서 '나의 타이밍'에 따라 '나의 순간'을 느끼시기를 바랍니다."(지난달 28일 파레노의 아티스트 토크(관객과의 대화)에서)

피술관에 대한 편견에 균열 내기...'유동하는 공간'

센서 기능을 갖고 있는 설치 작품 '막'은 기온, 습도, 풍량, 소음, 대기오염, 미세한 진동 등 지상의 모든 환경 요소를 수집하여 미술관 내부로 보낸다. 이 데이터는 사운드로 변환되며 전시의 모든 요소를 조율한다. 리움미술관 제공

센서 기능을 갖고 있는 설치 작품 '막'은 기온, 습도, 풍량, 소음, 대기오염, 미세한 진동 등 지상의 모든 환경 요소를 수집하여 미술관 내부로 보낸다. 이 데이터는 사운드로 변환되며 전시의 모든 요소를 조율한다. 리움미술관 제공

편의상 야외 덱의 대형 설치작 '막(膜)'에서 시작해보자. 13.6m 높이의 거대한 금속 설치물에 42개의 센서가 탑재돼 있다. 기온, 습도, 풍량, 소음, 진동 등 외부의 자극을 데이터로 바꾼 뒤 소리로 전환한다. 리움은 '막'을 설치하려 11년 동안 야외 덱을 지킨 애니시 커푸어의 '큰 나무와 눈'을 철거했다. 2022년 봄부터 리움과 전시를 논의해온 파레노는 미술관 입구를 보자마자 이 구조물이 놓여야 할 자리로 낙점했다는 후문이다.

야외의 '막'이 자극을 수집하는 감각기관이라면, 미술관 전체는 이 데이터를 받아들여 사고하는 '두뇌'처럼 보인다. 자연환경으로부터 수집한 '막'의 데이터에서 도출한 결괏값은 변화무쌍하다. 김성원 리움미술관 부관장은 "전시 전체가 하나의 자동 기계처럼 움직이고 반응하며 변화한다"면서 "변화하는 주체들의 모습과 시간의 경험을 선사하는 전시"라고 설명했다.

지하의 '그라운드갤러리' 공간의 설치 작품은 할로겐 전구, 움직이는 벽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계속해서 이동하고, 번쩍이고, 소리를 낸다. 이 역시 바깥 세계의 '막'에 의한 것이다. 이 같은 장치로 파레노가 시도하는 것은 '균열 내기'다. "미술관은 항상 닫혀 있고 외부를 향해 등을 돌리고 있는 듯해요. 비싼 제품들이 진열돼 있고 온도와 습도까지 조절되는 공간이죠. 거기에 틈을 내고 싶어요."

'그라운드갤러리'에 설치된 '차양 연작(2014~2023)', '깜빡이는 불빛 56개(2013)', '움직이는 벽(2024)'. 필립 파레노, 보이스. 리움미술관 제공

'그라운드갤러리'에 설치된 '차양 연작(2014~2023)', '깜빡이는 불빛 56개(2013)', '움직이는 벽(2024)'. 필립 파레노, 보이스. 리움미술관 제공


왜 배두나의 목소리를 선택했을까

배우 배두나의 목소리가 인공지능을 통해 새로운 목소리로 탄생했다. 인공두뇌를 사용하여 외부 환경데이터를 사운드로 전환하고, 사운드와 목소리가 상호작용하며 전시 공간에서 청각적 풍경을 연출한다. 필립 파레노, 보이스. 리움미술관 제공

배우 배두나의 목소리가 인공지능을 통해 새로운 목소리로 탄생했다. 인공두뇌를 사용하여 외부 환경데이터를 사운드로 전환하고, 사운드와 목소리가 상호작용하며 전시 공간에서 청각적 풍경을 연출한다. 필립 파레노, 보이스. 리움미술관 제공

"나는 가상의 캐릭터야. 하나의 기억, 유령이 아닌···."

익숙한 목소리를 따라 발걸음을 옮기니 파란 빛의 공간이 펼쳐진다. 배우 배두나의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화면에서 일본 만화 캐릭터 '안리'가 말하고 있다. 목소리의 주인은 배두나이지만, 그는 단 한 번도 이 대사를 읽은 적이 없다. 그의 음성 역시 '막'이 제어하는 신호를 통해 새로운 언어 '델타 에이'를 학습한 인공지능(AI)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배두나는 이 작품을 보고 "내가 언제 저런 말을 했지?"라며 깜짝 놀랐다고 한다. 그의 목소리는 전시장 곳곳에서 울려 퍼지며 미술관 안팎의 온도, 습도, 진동, 관객들의 반응 등과 함께 뒤섞여 매 순간 다른 풍경을 만들어 낸다.

왜 배두나일까. 전시 제목대로 '보이스(목소리)'가 전시를 관통하는 핵심 요소인 만큼, 파레노는 지난 4월 적합한 목소리를 찾으려 캐스팅에 나섰다. 배두나의 감성적인 목소리에 매료된 파레노는 직접 전시 취지를 설명했고 배우는 재능기부로 전시에 참여했다. "목소리를 만들 수는 있어도 감성은 AI가 생성할 수 없죠. (파레노)"

이번 전시는 올해 11월 독일 뮌헨의 미술관 '하우스 데어 쿤스트'와 협업해 이란성 쌍둥이 전시로 개최된다. 공통 주제와 핵심 작품을 공유하지만, '이란성'인 까닭은 파레노의 전시가 미술관 안팎의 환경과 관객들에 따라 변하기에 완전히 똑같은 전시를 구현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독일 전시에선 여성 앵커의 이성적인 목소리가 울려 퍼질 예정이다. 리움 전시는 올해 7월 7일까지.




이혜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