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빼면 통계 이래 최소 폭 증가
'역대 최대' 가계신용도 증가폭은 작아
"가계부채 안정적... 올해도 엄정 관리"
빚내 집 사려는 움직임이 늘면서 지난해 가계대출이 1년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다만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노력 등이 작용해 증가 폭은 소폭에 그쳤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대출 잔액은 1,768조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조4,000억 원 늘었다. 2022년 연간 7조3,000억 원 감소에서 다시 증가로 전환한 건데, 유일한 마이너스(-)인 2022년을 제외하면 통계 작성 이래 증가폭이 가장 작았다는 점에 한은은 주목했다. 가계대출이 연평균 82조5,000억 원씩 늘던 2010~2019년과 비교해 증가세가 확연히 꺾였다는 것이다.
가계대출이 다시 늘어난 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영향이 컸다. 지난해 연간 주담대 증가폭은 51조 원에 달했고, 분기별로는 1분기 4조4,000억 원에서 2분기 14조1,000억 원, 3분기 17조3,000억 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되다 4분기 15조2,000억 원으로 축소되는 흐름을 보였다. 서정석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과거만큼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2022년에 비해 주택 거래량 자체가 조금 늘면서 연간 기준 가계대출이 낮은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며 “4분기엔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속도 조절 등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조치가 증가세 둔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가계대출에 포함되는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연간 32조5,000억 원 감소했다. 신용카드 등 외상 구매한 결제대금 중 미결제 잔액을 뜻하는 판매신용 잔액은 1년 전보다 4,000억 원 늘었다. 이에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을 합산한 가계신용 잔액은 1,886조4,000억 원으로 또 한 번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마찬가지로 연간 증가폭(18조8,000억 원)은 2003년(7조3,000억 원), 2022년(4조6,000억 원)을 빼면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안쪽으로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날 관계부처 합동으로 열린 ‘가계부채 리스크 점검회의’에서 “지난해 가계신용은 전년 대비 1% 증가해 과거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2년 연속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올해는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른 대출 수요 확대, 금융권 과당 경쟁 우려 등 어려움이 있지만 가계부채를 엄정히 관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