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일자리 많은데 일손이 없다... “제조업 기피·고령화 그늘”

알림

일자리 많은데 일손이 없다... “제조업 기피·고령화 그늘”

입력
2023.12.26 17:00
0 0

대부분 지역서 노동시장 긴장도↑
30·40대 고된 제조업 취업 꺼리고
고령화에 돌봄 구인 133.9% 급증

지난 10월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벤처스타트업 SW개발인재 매칭페스티벌에서 참가자들이 채용정보 현황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지난 10월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벤처스타트업 SW개발인재 매칭페스티벌에서 참가자들이 채용정보 현황판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이후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일할 사람보다 일자리가 더 빠르게 늘어나 노동 수급 불균형이 심화했다는 진단이 나왔다. 고강도 노동직인 제조업 현장직 기피가 심해지고, 고령화와 함께 돌봄 인력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다.

26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BOK 이슈노트 지역 노동시장 수급 상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세종을 제외한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15개 지역에서 노동시장 긴장도(구직 건수 대비 구인 인원 배율)가 2019년 3분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구직 대비 구인이 더 많아져 노동시장이 양적으로 긴장했다(tight)는 뜻이다. 노동 수급의 질적 측면을 보여주는 일자리 미스매치도 제주·광주·강원·대전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확대됐다.

기업들도 노동시장 불균형을 체감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날 함께 발표된 지역경제보고서 설문조사에서 참여 업체 570곳 중 15.3%는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했고(2019년 12%), 팬데믹 이전 대비 채용경쟁률이 하락했다는 답변 비율도 22.2%에 달했다. 다만 지역에 따라 노동 수급 상황은 큰 차이를 보였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서울·대전·부산 등 대도시에선 긴장도가 0.5를 밑돌아 구직자에 비해 일자리가 부족한 반면, 전남·충남·충북 등에선 인력난으로 1을 웃도는 반대 상황이 확인됐다.

직종별로 봤을 때 노동시장 긴장도와 미스매치 확대는 주로 제조 현장직과 돌봄 서비스업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하 젊은 연령층뿐 아니라 40대도 상대적으로 위험하고 강도 높은 제조 현장직 취업을 꺼리면서 올 3분기 제조 현장직 긴장도는 제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상승했다. 돌봄 서비스 역시 16개 지역 중 11곳에서 노동시장 긴장도가 높아졌다. 고령화 영향으로 돌봄 서비스 구인은 2019년 3분기 대비 133.9% 급증했는데, 구직은 47.1% 느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결국 인력 수급 관련 정책은 지역보다 직종 문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결론이다. 송상윤 제주본부 기획금융팀 과장은 “제조업 중 반복 업무 성격이 강한 단순직은 자동화를 정책적으로 장려하고, 이외 필수 직종은 근무 환경과 여건을 개선해 핵심 기술이 다음 세대로 이전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돌봄 서비스의 경우 “고령화 추세에 비춰볼 때 인력수급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지 않은 외국 인력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강유빈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