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돌기둥 수놓은 눈꽃 송이... 서석대 설경은 겨울 수묵화

입력
2023.12.27 04:30
20면
0 0

광주 무등산 눈꽃 산행

무등산 꼭대기의 서석대 설경. 검은 돌기둥과 하얀 눈꽃이 조화를 이뤄 웅장한 수묵담채화를 보는 듯하다.

무등산 꼭대기의 서석대 설경. 검은 돌기둥과 하얀 눈꽃이 조화를 이뤄 웅장한 수묵담채화를 보는 듯하다.

광주 서구 덕흥동에서 출발하는 1187번 버스는 서에서 동으로 시내를 가로질러 무등산 북측 산자락 원효사까지 운행한다. 시가지를 벗어나면 버스는 구불구불한 고갯길을 넘어 산허리로 연결된 도로를 따라 하염없이 깊은 골짜기로 승객을 실어 나른다. ‘1187’은 무등산 정상의 높이이고, 버스가 지나는 산중 도로는 ‘무등로’다. 광주의 무등산 사랑이 집약된 상징적인 노선이다. 광주 사람에게 무등산에 대해 물으면 십중팔구는 ‘어머니의 품 같은 산’이라 대답한다. 시내 어디서나 잘 보여 늘 바라보는 그리움의 대상이고, 마음속 아픔까지 어루만지는 품 넓은 산이다.

순하고 부드러운, 그러나 만만찮은 산

겉보기에 무등산은 순하고 부드럽다. 아래서 보면 정상 능선이 식탁보를 덮어 놓은 것처럼 둥그스름해 등산이 크게 힘들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해발 900m 능선까지 오르는 길이 결코 만만치 않다. 부드러운 흙으로 덮인 육산 같지만 실제 등산로는 대부분 너덜겅으로 다져져 악산에 가깝다.

산 정상에 서설이 내린 지난 1일 원효사를 거쳐 무등산에 올랐다. 해발 약 400m 지점에서 출발하고, 국립공원 관리용 임도를 따라 걷는 길이니 무등산 등산로 중 비교적 순탄한 코스다. 원효사는 이름처럼 신라시대에 원효대사가 처음 건립했다는 말이 전하지만 확실치는 않다. 한국전쟁 때 불에 타 지금의 전각은 그 이후에 새로 지었다.

광주시내에서 원효사까지 운행하는 1187번 버스. 무등산 높이를 노선 번호로 정했다.

광주시내에서 원효사까지 운행하는 1187번 버스. 무등산 높이를 노선 번호로 정했다.


원효사에서 장불재로 이어지는 임도 절개지에 고드름이 주렁주렁 달려 있다.

원효사에서 장불재로 이어지는 임도 절개지에 고드름이 주렁주렁 달려 있다.

눈이 내리면 고도에 따른 기온 변화가 시각적으로 확인된다. 원효사 대웅전 앞 누각에 오르니 무등산 북측 산자락이 치마폭처럼 펼쳐진다. 하늘은 흐리고 색이 바랜 겨울 산은 을씨년스러운데, 산 정상에는 하얗게 눈이 덮였다. 눈구름에 덮인 능선과 하늘의 분간이 어렵다. 앙상한 나뭇가지가 터널을 이룬 임도를 따라 약 5㎞를 걸으면 드디어 해발 900m 부근 능선에 닿는다. 임도 개설로 잘린 절벽에 고드름이 주렁주렁 매달렸다. 본격적으로 설국으로 들어간다.

장불재에 도착하니 아래서는 상상하기 힘든 평원이 펼쳐진다. 옛날 광주목과 동복현(지금의 화순군 이서면과 동복면)을 잇는 지름길에 자리한 높은 고개다. 광주천이 발원하는 곳으로 긴 골짜기 ‘장골’에 사찰이 들어서며 장불재로 변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장불재에서 본 무등산 정상부. 정면 꼭대기가 서석대, 오른쪽 끝이 입석대다.

장불재에서 본 무등산 정상부. 정면 꼭대기가 서석대, 오른쪽 끝이 입석대다.


무등산 입석대 풍경. 곧추선 바위가 중간중간 갈라져 위태롭게 보인다.

무등산 입석대 풍경. 곧추선 바위가 중간중간 갈라져 위태롭게 보인다.


무등산 입석대. 글 읽기 좋아하는 이들은 서책을 쌓아 놓은 모습에 비유하기도 한다.

무등산 입석대. 글 읽기 좋아하는 이들은 서책을 쌓아 놓은 모습에 비유하기도 한다.


장불재에서 바라보는 정상 능선은 챙 넓은 등산모처럼 부드럽다. 주목나무 조림지를 사이에 두고 왼쪽 서석대부터 오른쪽 입석대까지 완만한 능선이 이어진다. 보통 장불재에서 입석대를 거쳐 서석대까지 올랐다가 맞은편으로 하산한다. 약 2㎞, 고산치고는 대체로 완만해 1시간가량이면 걸을 수 있다.

판판한 돌무더기로 다져진 등산로를 따라 약 400m만 걸으면 바로 입석대다. 입석대는 조금 떨어져서 보면 운치 있고, 바로 아래 전망대에서 올려다보면 웅장하다. 높이 10~18m 돌기둥 30여 개가 늘어져 장관을 이루고 있다. 5각, 6각의 돌기둥은 중간중간 분절돼 위태롭게 보이는데, 약 8,500만 년 전 용암이 분출하며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글 읽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입석대 돌기둥을 서고에 비유한다. 무등산을 사랑한 시인 범대순(1930~2014)은 산 이름과 같은 시집에서 “규장각 희귀본 고서같이 / 겹게 고개를 들면 서책은 더욱 높이 있다 / 천둥보다 더 진하게 쌓인 눈 그리고 푸른 하늘 / 산 겨울 정오에 서서 연월의 높이를 읽는다”고 눈 내린 날 입석대에 오른 감상을 읊었다.

입석대에서 서석대로 올라가는 등산로에 누워 있는 주상절리도 보인다. 와불 또는 승천암이라 부른다.

입석대에서 서석대로 올라가는 등산로에 누워 있는 주상절리도 보인다. 와불 또는 승천암이라 부른다.

둘레 2m가 넘는 돌기둥 아래에 어김없이 이곳을 다녀간 이들의 글귀가 새겨져 있다. 범대순은 선인들이 남긴 무등산 산행 시문이 무수히 많은데, 한결같이 고통을 전하는 기록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 원인을 직접 암석을 타는 위험이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하인이나 짐꾼들에게, 때로 절 중에게 짐을 지게 하고 가마를 타고 산행했으니” 등산이 힘들지 않았을 거라는 해석이다. 그들의 요산요수에 아랫사람들의 흥건한 땀방울이 배어 있다는 사실을 흘려 보지 않았다.


무등산에 첫눈이 내리면…

입석대를 지나면 길은 조금 가팔라진다. 너덜겅 위에 다져진 등산로 주변에 삐죽삐죽 돌부리가 솟았다. 중간쯤에 기다랗게 휘어져 누운 돌기둥 몇 개가 보인다. 등산객 사이에선 ‘와불’이라 부르는데 ‘승천암’이라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산양을 잡아먹고 승천하려던 이무기, 쫓기는 산양을 숨겨준 스님의 전설이 마치 사실인 양 적혀 있다. 이곳에서 올라온 길을 되돌아보면 말 잔등을 닮았다는 백마능선이 장관이라는데, 눈구름에 덮여 한 치 앞이 보이지 않았다. 구름 속인 듯 안개 속인 듯 무아지경이다.

입석대에서 서석대로 올라가는 등산로. 정면으로 말 잔등 같은 백마능선이 펼쳐지는데, 구름에 가렸다.

입석대에서 서석대로 올라가는 등산로. 정면으로 말 잔등 같은 백마능선이 펼쳐지는데, 구름에 가렸다.


해발 1,100m 무등산 서석대 표석. 정상은 천왕봉이지만 등산객이 오를 수 있는 건 서석대까지다.

해발 1,100m 무등산 서석대 표석. 정상은 천왕봉이지만 등산객이 오를 수 있는 건 서석대까지다.


드디어 해발 1,100m 서석대 정상에 오르니 눈바람이 매섭다. ‘무등산에서 바라본 광주’ 안내판에는 송촌보, 월드컵경기장, 어등산, 광주시청, 아시아문화전당, 광주역 등 나주 방면에서 영광 방면까지 광주 시내 전경이 파노라마로 표시돼 있는데 보이지 않으니 장쾌한 풍광을 짐작만 할 뿐이다.

여러 명산과 마찬가지로 무등산 정상도 천왕봉이지만 사실상 최고봉은 서석대가 대신하고 있다. 안내판에 ‘천왕왕 옛 모습’ 흑백사진이 붙어 있다. 기암괴석이 다발을 이룬 풍광이 금강산을 옮겨 놓은 듯 우람하고 아기자기한데, 군사시설이 들어서며 사라지고 말았다. 지난 9월 서석대에서 천왕봉으로 가는 길목의 인왕봉 전망대까지 400m 탐방로가 57년 만에 개방됐지만, 현재는 정비를 위해 다시 막혀 있는 상태다.


서석대 꼭대기에서 전망대로 내려가는 길이 눈꽃 터널을 이루고 있다.

서석대 꼭대기에서 전망대로 내려가는 길이 눈꽃 터널을 이루고 있다.


서석대 꼭대기에서 전망대로 내려가는 길이 눈꽃 터널을 이루고 있다.

서석대 꼭대기에서 전망대로 내려가는 길이 눈꽃 터널을 이루고 있다.


서석대 꼭대기에서 전망대로 내려가는 길이 눈꽃 터널을 이루고 있다.

서석대 꼭대기에서 전망대로 내려가는 길이 눈꽃 터널을 이루고 있다.


무등산의 최고 절경 서석대를 제대로 보려면 주상절리 아래 전망대까지 내려가야 한다. 하산하는 숲길로 접어드니 바람은 잠잠해지고 나뭇가지마다 온통 눈꽃이 피어 환상적인 설경이 펼쳐진다. 잠깐이면 내려올 길인데 발걸음이 자꾸 느려진다.

전망대에서 보는 서석대 설경은 말할 것도 없다. 높이 30m, 너비 1~2m에 이르는 돌기둥 200여 개가 병풍을 펼친 듯 수십 미터 이어진다. 난공불락의 바위 성벽이다. 관광 명소를 홍보하는 이미지에는 소위 ‘사진발’이 가미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서석대는 그 반대다. 단언컨대 무등산을 찍은 어떤 사진도 현장의 웅장함과 감동을 제대로 담지 못한다. 아무리 멋지게 찍어도 사진 속 서석대는 실제에 비하면 왜소하고 초라하다.

바위 기둥 아래 전망대에서 보는 서석대 풍경. 실제는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 훨씬 웅장하고 압도적이다.

바위 기둥 아래 전망대에서 보는 서석대 풍경. 실제는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 훨씬 웅장하고 압도적이다.


서석대 검은 돌기둥에 눈꽃이 피어 있다. 실제 모습은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 훨씬 웅장하다.

서석대 검은 돌기둥에 눈꽃이 피어 있다. 실제 모습은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 훨씬 웅장하다.


눈꽃과 검은 바위가 빚은 흑백의 조화가 아름답다.

눈꽃과 검은 바위가 빚은 흑백의 조화가 아름답다.

비껴 부는 바람에 흩날린 눈발이 검은 돌기둥에 더러는 비누거품처럼 엉겨 붙고, 더러는 고운 떡가루처럼 뿌려진다. 억겁의 시간 죽어있던 바윗덩어리가 수묵담채화로 은근한 생명력을 얻는다. 검은 돌과 하얀 눈꽃이 조화롭다. 서석대의 흑백은 대결이 아니라 어우러짐이다.

서석대의 또 다른 이름은 ‘수정병풍’이다. 맑은 날 바위 절벽에 반사되는 저녁 햇살이 보석처럼 반짝거리는 모습을 비유한 표현이다. 햇빛 한 줌 없는 날이었지만 그 아름다운 풍광을 떠올리는 게 어렵지 않았다. “무등산에 첫눈이 내리면 / 하산하지 않고 그대로 서서 / 나는 목 놓아 운다 원시 여름 천둥같이 운다”고 한 무등산 시인의 심정을 조금은 알 것 같다.

서석대에서 내려오는 등산로 주변에도 다양한 모양의 주상절리가 흩어져 있다.

서석대에서 내려오는 등산로 주변에도 다양한 모양의 주상절리가 흩어져 있다.


서석대에서 내려오는 등산로 주변에도 다양한 모양의 주상절리가 흩어져 있다.

서석대에서 내려오는 등산로 주변에도 다양한 모양의 주상절리가 흩어져 있다.


낮은 골짜기까지 푸근한 어머니의 품

하산은 중봉을 거쳐 증심사로 내려오는 길을 택했다. 서석대에서 고원 평지까지 등산로는 제법 가파르다. 대부분 커다란 돌덩이를 끼워 다진 길이어서 눈 오는 날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특히 주의해야 한다. 가파른 산길이 끝나면 중봉까지는 평평한 억새밭을 통과한다. 1998년 군부대가 이전하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회복 중이다.

중봉(915m)에서 중머리재(617m)를 거쳐 증심사로 내려가는 등산로는 내내 가파른 내리막이다. 특히 중머리재까지 1㎞ 일부 구간은 경사가 수직에 가깝다. 그래서 대개 가벼운 마음으로 등산을 계획하는 사람들은 중머리재를 목표로 잡는다. 봄가을 소풍을 가는 학생들의 최종 목적지이기도 하다. 중머리재는 고갯마루의 넓은 풀밭을 스님의 머리에 빗댄 작명이다.


중봉에서 바라본 무등산 정상. 두 봉우리 사이에 제법 넓은 평원이 형성돼 있다. 가을이면 억새가 물결치는 곳이다.

중봉에서 바라본 무등산 정상. 두 봉우리 사이에 제법 넓은 평원이 형성돼 있다. 가을이면 억새가 물결치는 곳이다.


무등산 정상과 중봉 사이에 제법 넓은 평원이 형성돼 있다. 가을이면 억새가 물결치는 곳이다.

무등산 정상과 중봉 사이에 제법 넓은 평원이 형성돼 있다. 가을이면 억새가 물결치는 곳이다.


중봉에서 중머리재로 하산하는 길. 일부 구간은 경사가 거의 수직에 가까운 내리막이다.

중봉에서 중머리재로 하산하는 길. 일부 구간은 경사가 거의 수직에 가까운 내리막이다.


중봉에서 하산하는 길에도 다양한 형태의 바위 군상이 흩어져 있다.

중봉에서 하산하는 길에도 다양한 형태의 바위 군상이 흩어져 있다.


중머리재에서 증심사까지도 제법 가파르지만, 민가가 가까워질수록 거친 산길이 차츰 정겨운 마을길로 변한다. 계곡 주변에 흔적만 남은 돌담이며 대숲이 보이고, 마을이 있던 자리에 커다란 당산나무도 서 있다. 옛날 보리밥집이 있었다는 곳에 500년 된 커다란 느티나무가 사방으로 가지를 뻗어 멋진 풍모를 뽐내고 있다. 당산나무는 마을지킴이이자 주민들의 사랑방이다. 2007년 5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증심사~장불재 구간을 등산하며 주민들과 인사를 나눈 장소라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조금 더 내려오면 지붕에 십자가를 세운 건물이 보인다. ‘신림교회 오방수련원’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오방’은 광주에 기독교의 씨앗을 뿌린 최흥종 목사의 호다. 북문밖교회(현 광주중앙교회) 초대 목사인 그는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사업가로 특히 한센병과 결핵퇴치, 빈민운동에 힘썼다. 오방수련원도 병들고 아픈 사람들을 보듬기 위해 설립한 시설이었다. 어머니의 품 무등산의 모습을 닮았다.

중머리재에서 증심사로 내려오는 길 중간에 500년 된 느티나무가 멋들어지게 가지를 펼치고 있다.

중머리재에서 증심사로 내려오는 길 중간에 500년 된 느티나무가 멋들어지게 가지를 펼치고 있다.


중머리재에서 증심사로 내려오면 등산로는 점점 마을길로 변한다. 옛날 마을이 있던 자리에 대숲이 형성돼 있다.

중머리재에서 증심사로 내려오면 등산로는 점점 마을길로 변한다. 옛날 마을이 있던 자리에 대숲이 형성돼 있다.


증심사 바로 위의 오방수련원. 광주에 기독교의 씨앗을 뿌린 최흥종 목사가 병자들을 보살피기 위한 시설을 지었던 곳이다.

증심사 바로 위의 오방수련원. 광주에 기독교의 씨앗을 뿌린 최흥종 목사가 병자들을 보살피기 위한 시설을 지었던 곳이다.


신라 고찰 증심사는 광주 시민들이 가장 즐겨 찾는 무등산 등산로 시작점이다.

신라 고찰 증심사는 광주 시민들이 가장 즐겨 찾는 무등산 등산로 시작점이다.


무등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주요 명소. 그래픽=김문중 선임기자

무등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주요 명소. 그래픽=김문중 선임기자

등산로가 끝나는 곳의 증심사는 출발지의 원효사와 비슷한 연륜을 지니고 있다. 신라시대에 창건해 한국전쟁 때 전소되고 대부분 건물은 1970~1980년대에 다시 지었다. 다만 원효사보다는 한결 규모가 크고 짜임새 있다. 도심과 가까워 찾는 이가 많아서인 듯하다.

사찰 바로 아래에 동양화가 허백련(1891~1977)의 호를 딴 의재미술관이 있다. 진도에서 태어나 광주에서 주로 활동한 그는 호남의 풍경을 진경산수로 그린 남종화의 대가로 꼽힌다. 미술관 주변 계곡에 단풍잎이 소복하게 떨어져 있다. 볕 좋은 늦가을 다시 와야 할 모양이다.




광주=글·사진 최흥수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