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41년간 연 강수량 0.6m 늘어
"향후 5년간 제주, 경남, 대전 피해↑"
기후위기가 한국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로 표현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를 대입하면 향후 5년간 위도상 남쪽에 있거나 도시·산업화 비중이 높은 지역, 기상 여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 건설업 등에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18일 이지원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국내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연간 총 강수량이 1m 증가하면, 해당 기간 동안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은 2.54% 하락한다"고 밝혔다.
올해 총 강수량이 100년 전 대비 1m 늘어났다고 가정하면, 100년간의 GRDP는 기후위기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기대되는 값보다 2.54% 줄어든다는 뜻이다. 한국의 연간 총 강수량은 전국에 기상관측망이 설치된 1979년 1,039㎜에서 2020년 1,630㎜로 41년간 591㎜(0.591m)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대전(-4.03%), 광주(-3.75%), 인천(-3.43%), 대구(-3.11%), 충남(-3.06%) 순으로 강수량 증가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장은 "도시·산업화 과정에서 불투수면(건물이나 도로로 덮여 빗물이 침투할 수 없는 땅) 면적을 증가시키는 토지 이용의 변화가 자연재해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는 (앞선) 연구 결과 등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9.84%), 비금속 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6.78%) 등에서 실질 부가가치 성장이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다. 실외 노출된 생산활동이 많거나, 기상 여건에 따라 원자재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는 업종들이다. 침수 피해 확률이 증가할수록 보험업계 손실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 및 보험업(-3.62%)도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연평균 기온 상승이 한국 GRDP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산업별로는 도소매업(연평균 기온이 섭씨 1도 상승할 경우 실질 부가가치 1.85% 하락), 부동산업(-1.73%) 등 서비스업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냉난방시설 확충에 따른 설비비, 에너지 사용 증가에 따른 유지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위기가 2023~2027년 지역 경제에 미칠 실질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위도상 남쪽에 위치한 제주(5년 누적 -3.35%), 경남(-2.39%), 도시·산업화 비중이 높은 대전(-1.54%), 부산(-1.31%) 등에 피해가 클 것으로 추정됐다. 산업의 경우 건설업(-4.9%), 부동산업(-4.37%) 순으로 나타났다. 1985~2021년 강수량 및 평균 기온 변화량의 중간값 수준으로 기후위기가 지속될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이 과장은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으로 현재까지 관측된 값보다 더 높은 수준의 평균 기온과 총 강수량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며 "위 추정치에는 홍수, 가뭄, 산불 등 급성 리스크로 인한 피해는 포함하지 않아 실제 피해 수준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