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5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했다. 5박 7일간 인도네시아와 인도에 들러 20개국 안팎의 나라와 양자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국제사회에서 공감대를 얻을지 주목되는 자리다. 아울러 2030 부산엑스포 유치, 경제 협력을 포함한 세일즈 외교에 나선다.
윤 대통령의 아세안·G20회의 참석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해 정부의 외교 독트린인 인·태 전략을 소개하는 데 주력했다면 올해에는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우군을 확보해야 할 때다. 특히 지난달 18일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강화된 3국 공조가 인·태 전략을 매개로 다자회의 무대에서 얼마나 통할지가 관심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만날 것이 유력한 만큼,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위해 윤 대통령이 외교력을 발휘해야 할 필요성이 더 커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인도네시아 언론 ‘콤파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달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캠프 데이비드 정신’으로 명명된 3국 공동성명에서도 아세안, 태평양도서국과의 협력을 다른 어떤 지역 사안보다 먼저 기술하여 아세안과 태평양도서국 중시 입장을 분명하게 강조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한미일 협력은 어느 특정 국가를 배제하거나 특정 세력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보편적 가치와 규칙 기반의 국제질서를 증진함으로써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 번영에 기여하고 모든 국가에 이로운 결과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미일 협력의 정신을 아세안으로 넓혀 국제사회에서 보편적인 지지를 확보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북한과 러시아가 갈수록 밀착하는 상황에 맞서 ‘규범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재차 강조할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등으로 인해 국제규범이 무시되고 기존의 합의와 약속이 파괴되고 있다”며 “특히 날로 고조되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핵위협은 아세안 국가들에도 직접적이며 실존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때일수록 한국과 아세안이 단합하여 단호하게 대응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긴밀히 공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중국 역할론'을 강조하며 무기거래에 여념이 없는 북한, 러시아와 차별화했다. 윤 대통령은 “이제 한일중 3국 간 협력도 다시 궤도에 올려놓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한국은 3국 간 협의체의 의장국이자 아세안+3에서 3국을 대표하는 조정국으로서 한일중 3국 간 협력의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시진핑 중국 주석이 지난해와 달리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지 않기로 하면서 한중 정상회담은 무산될 전망이다. 대신 양국 모두 경색된 관계를 풀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만큼, 리창 총리와 윤 대통령과의 만남은 성사될 가능성이 남아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의 경우 관례대로 중국에서 총리가 참석할 텐데 어떤 식으로든 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대통령이 방문하는 인도네시아와 인도는 한국의 인·태 전략에도 중요한 국가다. 양국은 각각 아세안과 G20이라는 정상회의를 주최하며 미국을 축으로 한 인·태 전략에 적극 보조를 맞추는 모양새를 취했다. 동시에 미국을 상대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데 주저하지 않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냉전시절 미소 양쪽에 쏠리지 않은 비동맹진영의 맹주를 자처해왔고, 인도는 쿼드(Quad·미국 호주 인도 일본) 회원국이면서도 중국·러시아와 각별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윤 대통령이 양국 정상과 가치와 이념을 얼마나 공유할 수 있을지가 또 다른 관전 포인트다. 이에 더해 경제적으로도 국익을 실현해야 하는 과제를 안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인도의 경우 2021년도 기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통계에 의하면 경제활동 인구가 9억 명이 넘는다”며 “포스트 중국 시대에 세계 글로벌 거대 시장이라는 평가가 있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