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설치·운영하면 15년간 낙찰가로 비용 보상
'출력제한' 제주 전력계통 안정 목표…전국 확대
날씨에 따라 변동성이 큰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가 늘어나면서 전력 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정부가 제주에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를 도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부터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장주기 배터리 ESS' 입찰 공고를 내고 국내 최초의 저탄소 전원 중앙계약 시장을 연다고 17일 밝혔다. 장주기 ESS는 에너지저장 용량이 커서 정격 출력으로 최소 네 시간 이상 장시간 방전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를 말한다. 입찰 물량은 260메가와트시(MWh) 규모로, 65메가와트(㎿) 전력을 네 시간 동안 충전해 보관했다가 전기 공급이 필요할 때 다시 같은 전력을 네 시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번 사업은 대상자로 뽑힌 사업자들이 ESS를 설치 및 운영하면 15년 동안 낙찰 가격으로 공급능력을 보상받는 내용이 핵심이다. ESS로 남는 전력은 충전하고 전력이 부족할 경우 이를 내보내 제주 지역의 전력 수급을 안정화하고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다.
특히 이번 사업 대상자들은 기존의 ESS 소유주가 각자 판단에 따라 전기를 저장하거나 내보냈던 것과 달리 전력거래소 지시에 따라 전기를 충전하거나 외부로 공급하게 된다. ESS 설비 사업자들만을 중심으로 저탄소 전력시장이 개설돼 전국의 전력 수급 통제를 책임지는 전력거래소 지시를 받게 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SS는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계통 안정화를 위해 필수적 장치지만 투자 비용과 낮은 사업성, 화재 등 안전성 문제로 보급 속도는 더디기만 했다. 이에 정부는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이 잦은 제주를 중심으로 저탄소 전원 중앙계약시장을 시범 도입한 후 전국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최종 낙찰자는 입찰 가격, 기술 능력, 화재 방지 등 설비 안정성, 산업·경제 기여도 등을 종합 평가해 연말까지 선정한다.
아울러 정부는 ESS 보급 확대 필요성이 커지면서 ESS 산업 발전을 위한 에너지저장산업 발전 전략을 10월 발표할 계획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ESS 배터리 육성, 설치비용 경감 대책 등 저비용·고효율 방향의 ESS 산업 육성 방안을 담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이날 울산 지역 에너지기업과의 간담회에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ESS가 필수적"이라며 "에너지저장산업 발전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