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 환자 응급실 안 가도록 인식 개선도
정부가 치료 가능한 병원을 찾아 헤매느라 적시 치료를 놓치는 '응급실 뺑뺑이'를 해결하기 위해 119구급대와 의료기관의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체계를 통일한다.
보건복지부는 4일 중앙응급의료정책추진단 제4차 회의를 열어 응급실 이송 체계 개선과 경증 환자의 응급실 과밀화 해소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올 하반기부터 소방청 119구급대에 병원에서 사용 중인 중증도 분류 기준(Pre-KTAS)을 도입하기로 했다. 병원 이송 단계에서 응급환자가 신속히 치료 가능한 병원에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현재 119구급대는 4단계(사망 제외)의 분류체계를 사용하는데, 병원에는 5단계로 구성된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가 적용 중이다. 다른 분류 기준을 사용하다 보니 이송 정확성이 떨어져 응급실 뺑뺑이가 발생하고 있다는 게 회의 참여 기관들의 판단이다. 이에 구급대원들에게 KTAS와 호환되는 Pre-KTAS 교육을 진행하고 10월 일부 지역에서 새 분류체계를 사용한 뒤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응급의료기관 지정 기준은 시설 인력 중심에서 진료 중심으로 개편하기로 결정했다. 중증도에 따른 의료기관별 역할을 더 명확히 하고, 하반기 수행지역을 공모해 시범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 지방자치단체와 소방본부, 응급의료기관이 협력하는 '지역응급의료협의체'를 17개 시도별로 구성했다. 협의체는 앞으로 병원 전(前) 단계에서 지역별 부적정 의료기관 이송 사례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감기나 배탈 등 경증 환자들이 응급실 병상을 차지하지 않도록 응급실 과밀화 해소 방안도 마련한다. '셀프 트리아지(Self-Triage·자가 중증도 분류)' 앱 개발도 그중 하나다. 환자들은 앱을 사용해 응급실 이용이 필요할 정도로 상태가 위중한지, 필요하다면 어떤 의료기관에 가는 게 좋은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