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혼인 683만 건... 통계 작성 후 가장 적어
출산율도 사상 최저... 청년층 경제 활동 위축 탓
중국의 혼인·출산 건수가 사상 최소를 기록했다. 갈수록 악화하는 청년 실업률과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경제 활동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12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은 중국 민정부(한국의 행정안전부 격) 자료를 인용해 "통계 작성 이후 중국의 혼인 건수가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매체는 그러면서 "혼인과 출산을 늘리려는 온갖 노력에도 불구, 중국은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 중"이라고 진단했다.
혼인 건수 9년 연속 감소세
민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내 혼인 건수는 전년보다 80만3,000건 줄어든 683만3,000건으로 집계됐다. 중국 정부가 혼인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1986년 이래 최소 수치다. 2014년 이후 9년 연속 감소 추세이기도 하다. 중국의 혼인 건수는 2013년 1,346만 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이듬해 1,306만 건으로 줄어들었고, 2019년엔 1,000만 건 미만(927만 건)으로까지 주저앉았다.
중국 당국은 혼인율 급락의 이유로 △1990년대 이후 출생 인구 감소 △결혼 가능 인구 중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성비 불균형 △초혼 연령 상승 등을 꼽았다. 전체 인구 자체가 줄어드는 구조적 문제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보다는 오히려 지난해 12월 중국 청년실업률이 16.7%에 달하는 등 청년들의 경제 활동 위축이 직접적 원인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CNN은 "중국이 엄격한 제로코로나 정책을 취했던 2020~2022년, 청년실업률 상승과 함께 젊은이들의 경제적 압박이 커졌다"며 "중국의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결혼이 성 불평등을 고착화시킨다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는 점도 원인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
결혼·출산 인센티브 효과 미지수
혼인 감소로 출산율도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지난해 중국 인구 1,000명당 출생아는 전년(7.52명)에 견줘 0.75명 적은 6.77명에 그쳤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인구 통계를 집계한 1949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였다.
2015년까지 '한 자녀 출산 정책'을 지속해 온 중국은 2016년 두 자녀 정책을 시행한 뒤, 2021년에는 세 자녀 허용으로 출산 제한을 거듭 완화했다. 출산 휴가·육아 보조비 제공 등 인센티브를 속속 내놓고 있는 동시에, 일부 지방정부는 혼인 부담의 핵심 사유로 지목돼 온 차이리(彩禮·결혼식 때 신랑이 신부 측에 주는 지참금) 축소·폐지 운동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조치가 실제 혼인·출산율 증가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많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