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쾌청한 6월 2일 北 위성 발사 가능성… 한미일 정보공유 시험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쾌청한 6월 2일 北 위성 발사 가능성… 한미일 정보공유 시험대

입력
2023.05.31 04:30
1면
0 0

北 군부 2인자 리병철 "6월에 곧 위성 발사"
"조립 완료, 기립 및 연료 주입 작업 남은 듯"
기상청 예보상 2~9일 바람 적은 맑은 날씨
한미일 "위성 발사는 불법" 북한은 "자위권"

북한의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임박한 가운데 한미일 3국도 대응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북한이 2012년 12월 평안북도 동창리 서행위성발사장에서 장거리 로켓인 은하 3호를 발사하는 장면.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의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임박한 가운데 한미일 3국도 대응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북한이 2012년 12월 평안북도 동창리 서행위성발사장에서 장거리 로켓인 은하 3호를 발사하는 장면.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의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북한 군부 2인자인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30일 "6월에 곧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기상상황을 고려할 때 6월 2일 이후를 최적의 디데이로 꼽았다. 한미일 3국이 누차 강조해 온 대북정보 공유가 위성과 발사체 추적과정에서 얼마나 빛을 발할지 시험대에 올랐다.

북한, 마지막 순간까지 '철통 보안'…발사장 이동도 안 보이게

북한은 당장이라도 정찰위성을 쏘아 올릴 준비를 마친 것으로 보인다.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위성과 발사체의 조립은 끝났고, 미사일을 갠트리타워(발사대)에 세운 뒤 연료와 산화제를 주입하는 작업 정도가 남았다고 봐야 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전날 일본을 통해 국제해사기구(IMO)에 '31일 0시부터 다음 달 11일 0시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다.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은 은밀한 준비작업이 한창이다. 미국의소리(VOA)는 민간위성업체 플래닛랩스가 촬영한 29일 자 위성사진을 근거로 "이동식 조립 건물이 발사대와 맞닿아 있다"고 전했다. 또 인근에 짓고 있는 새 발사장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포착됐다. 장 센터장은 "보통 조립동에서 위성과 발사체를 합친 뒤 이를 발사장으로 가져가는데 이 과정에서 완성체가 정찰위성에 촬영될 수 있다"면서 "이조차도 보여주지 않으려고 조립동과 발사장을 연결시킨 것 같다"고 평가했다.

29일 위성으로 촬영한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기존 발사장(왼쪽)과 새 발사장(오른쪽) 모습. 이동식 조립 건물(붉은 박스)이 각각 서쪽과 북쪽으로 이동했다. VOA 홈페이지 캡처

29일 위성으로 촬영한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기존 발사장(왼쪽)과 새 발사장(오른쪽) 모습. 이동식 조립 건물(붉은 박스)이 각각 서쪽과 북쪽으로 이동했다. VOA 홈페이지 캡처

남은 관심은 북한이 언제 행동에 나설지다. 2016년에는 "2월 7~14일 사이 인공위성 '광명성 4호'를 발사하겠다"고 IMO 등에 통보한 뒤 첫날인 7일 쏴 올렸다.

이번에도 미룰 이유는 없어 보인다. 6월 2~4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한미일 국방장관이 북한의 도발을 강력 규탄할 예정인 만큼 이에 맞대응할 필요성도 있다.

마지막 변수는 날씨다. 바람이나 비, 구름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서해 발사장에서 약 50㎞가량 떨어진 신의주는 6월 1일 구름이 잔뜩 꼈다가 2일부터 9일까지 비교적 쾌청할 전망이다. 이 기간에는 바람이 잠잠하고 강수확률도 거의 없다. 2일이 유력한 발사일로 꼽히는 이유다.

한미·한일 정상회담 뒤 첫 도발에 '예의주시'

북한은 지난달 13일 화성-18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이후 40여 일간 무력도발을 자제했다. 이후 한미·한일·한미일은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대북경고 수위를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며 3국 안보공조에 부쩍 공을 들였다.

따라서 북한의 이번 발사과정에서 한미일의 대응은 3국 정보공유의 실효성을 가늠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우리 군은 2016년 2월 북한의 광명성 4호 위성 발사 당시 초반 6분만 레이더로 탐지하고 이후 놓쳐 비판을 받은 쓰라린 경험이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 따르면 미국은 감시·정찰·통신 등 약 130여 기의 군사위성을 운용 중이다. 한반도 상공을 지나는 군사위성은 8기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정찰위성 8기를 보유하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6일 딸 주애와 함께 비상설 위성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 지도한 뒤 담배를 손에 쥔 채 발언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6일 딸 주애와 함께 비상설 위성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 지도한 뒤 담배를 손에 쥔 채 발언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은 위성 발사를 앞두고 외교·여론전으로 으름장을 늘어놓았다. 리 부위원장은 "(미국 정찰자산의) 작전반경과 감시권은 평양 등 공화국 서북부지대는 물론 주변국가의 종심지역과 수도권까지 포괄한다"고 주장하며 발사의 정당성을 강변했다. 북한이 주변국인 중국까지 거론한 것은 뒷배인 중국·러시아를 끌어들여 한미일의 압박에 맞서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실제 북한은 위성 발사가 미국의 군사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자위적 조치'라고 주장해 왔다. 이날 리 부위원장이 "군사정찰위성 1호기 외에 새로 시험할 예정인 다양한 정찰자산이 있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무인기 등 다른 정찰수단을 계속 시험해 한미와 강대강 맞대결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한미일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북한은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어떤 형태의 발사체도 쏠 수 없기에 위성 발사 또한 불법임을 강조한다.

이런 상황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와 회담했다. 최 외무상이 러시아 측에 정찰위성 발사의 정당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중국과 러시아의 북한 감싸기 탓에 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를 추가로 하긴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한미일이 서해에서 높은 수준의 공동 훈련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유대근 기자
문재연 기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