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아세안+α' 제주형 지방외교 시동… 경제 영역까지 확장한다

입력
2023.05.27 04:30
14면
0 0

경제까지 확대한 제주형 지방외교
‘아세안+α’ 정책 올해부터 본격 추진
세계평화의섬?제주올레 등 활용한
새로운 지방외교 영역 개척해 눈길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평화센터 내에 아세안 10개국과 제주의 문화관광정보를 소개하는 공간인 제주아세안홀이 문을 열었다. 사진은 개관 기념 사진. 제주도 제공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평화센터 내에 아세안 10개국과 제주의 문화관광정보를 소개하는 공간인 제주아세안홀이 문을 열었다. 사진은 개관 기념 사진. 제주도 제공

한반도 최남단 제주도. 지도를 거꾸로 뒤집으면 제주는 아시아와 태평양, 그리고 전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지리적, 전략적 요충지다. 이 같은 이점을 잘 알고 있는 제주는 해외 지방도시들과 활발한 교류 활동으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제주는 단순히 지방정부 차원의 외교영역 확대에 그치지 않고, 경제 영토를 확장해 제주도민들에게 실질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 ‘제주형 지방외교’ 정책을 새롭게 추진하고 있어 성과에 관심이 쏠린다.

새로운 거대 시장, 아세안으로 향하는 제주

미중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동남아시아가 매우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 중이다. 인구 6억7,000만 명에 연 5%대의 꾸준한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1967년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을 창설해 공동의 이익을 꾀하고 있다. 출범 당시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등 5개국으로 출발했으나, 1984년부터 브루나이와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차례로 가입하면서 10개국 체제로 운영 중이다.

일찌감치 동남아 시장 잠재력에 주목한 제주는 미래성장동력 확보 차원에서 ‘아세안+α’ 정책을 추진 중이다. ‘아세안+α’는 아세안 10개국에 머물지 않고, 환태평양지역과 중동까지 제주의 전략적 국제관계와 교류를 확장해 나간다는 의미도 있다.

제주도의 ‘아세안+α’ 정책의 주요 전략은 사람‧상품‧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에 맞춰져 있다. 이는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출범 취지이기도 하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아세안 개별국가들과 직항 항공노선을 구축 중이다. 도 관계자는 "도민들의 실질적 이익 창출을 목표로 국제교류와 문화예술, 관광, 경제통상, 농수축산 등 5개 분야를 중심으로 아세안 국가들과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오영훈(왼쪽) 제주지사가 지난 1월 싱가포르에서 심 앤 외교부 및 국토개발부 선임국무장관과 면담을 갖고 있다. 제주도 제공

오영훈(왼쪽) 제주지사가 지난 1월 싱가포르에서 심 앤 외교부 및 국토개발부 선임국무장관과 면담을 갖고 있다. 제주도 제공

제주도는 우선 동남아의 실리콘밸리로 통하는 중계 무역 중심지 싱가포르 공략에 나섰다. 오영훈 지사는 올해 1월 싱가포르를 방문, 외교부‧국토개발부 선임국무장관과 기업청장, 관광청장 등을 만나 제주의 ‘아세안+α’ 정책을 설명하고,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다음달 말 경제통상과 관광홍보, 국제교류의 거점으로 활용할 해외사무소를 싱가포르에 설치해 운영에 들어가는 등 결과물도 나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중국 상하이와 일본 도쿄에서만 운영 중인 해외사무소를 싱가포르에 개설한다는 것은 사실상 동남아 국가 개척의 신호탄으로 해석하면 된다"며 "중국 중심의 외국인 관광시장도 지각변동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제주-싱가포르 직항 노선도 주 3회에서 주 5회로 증편됐다.

동남아 시장 개척을 위해 제주도는 2026년까지 52억여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 중 올해 14억 원을 투입해 △제주상품 해외진출 기반 구축 △지역산업 해외 마케팅 △수출시장 통합 홍보 △수출물류비 지원 등을 추진한다.

제주도는 문화 분야 교류 확대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최근 드라마와 영화 등의 배경으로 노출이 빈번해지면서 제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는 이를 최대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제주형 K콘텐츠를 집중 육성 지원하면서 도내 콘텐츠 기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10월쯤에는 ‘아세안+α K콘텐츠 포럼’ 개최도 예정돼 있다. 오영훈 지사는 “‘아세안+α’는 국제교류를 넘어 경제 영역까지 확대하는 새로운 지방외교의 모델이 될 것”이라며 “제주의 지리적 이점과 세계적인 브랜드 가치를 활용해 아세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아세안+α’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제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워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주만의 콘텐츠로 지방외교 나선다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모색하기 위한 다자 협력 및 논의의 장인 제주포럼이 매년 제주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제17회 제주포럼 개막식 전경. 제주도 제공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모색하기 위한 다자 협력 및 논의의 장인 제주포럼이 매년 제주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제17회 제주포럼 개막식 전경. 제주도 제공

제주도는 평화를 주제로도 새로운 외교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제주 4·3의 아픈 역사를 화해와 상생으로 승화시킨 경험이 토대가 됐다. 2005년 정부로부터 세계평화의섬으로 지정됐고, 이후 평화를 브랜드로 평화도시외교를 펼쳐왔다. 이 같은 유산을 바탕으로 제주는 국제사회에서 평화 어젠다를 선도하기 위해 유럽 평화도시인 독일 오스나브뤼크, 프랑스 베르됭과 ‘글로벌 평화도시연대’ 국제협의체를 구성했다. 지난해 베르됭과 공동주최로 우크라이나 평화 기원 사진전도 개최했고, 오스나브뤼크와 공동 평화음악회를 열었다. 도 관계자는 "‘글로벌 평화도시연대’ 회원국가를 아세안 국가 등으로 확대하고, 상설기구인 ‘글로벌 평화도시협의체(가칭)’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01년 출범한 제주포럼도 20년 넘게 이어지면서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모색하기 위한 다자 협력과 논의의 장으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제주포럼의 주요 어젠다는 외교와 안보, 경제와 경영, 환경과 기후변화, 여성과 문화 및 교육, 글로벌 제주 등이다. 제주포럼은 그동안 해외 유명 인사들과 평화 전문가, 정부‧지방도시 관계자 등이 참여하면서 활발한 인적 교류 등이 이뤄져 제주의 지방외교 외연을 확장하는 실질적인 인프라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에 제주를 상징하는 돌하르방과 제주 올레 상징물인 간세가 설치됐다. 제주도 제공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에 제주를 상징하는 돌하르방과 제주 올레 상징물인 간세가 설치됐다. 제주도 제공

제주 올레길도 제주 지방외교의 한몫을 차지하고 있다. 올레길과 세계적 도보 여행 명소인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은 제주와 스페인 갈리시아주를 연결하는 고리가 됐다. 2019년 한‧스페인 수교 70주년을 계기로 산티아고 순례길과 제주 올레길에 공동상징구간을 조성하는 방안이 추진돼, 지난해 7월 도는 대표단을 구성해 갈리시아주정부와 의회를 공식 방문해 양 지역 간 실무교류협약을 체결했다.

산티아고 순례길 마지막 관문인 아레카 구간에는 돌하르방과 올레 상징물인 간세 조형물이 설치돼 지역의 큰 관심을 끌었다. 산티아고 순례길의 상징물은 제주올레 1코스 구간에 설치됐다. 제주도와 갈리시아주정부는 관광교류협력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사업을 발굴해 추진하기로 했다. 대표적 사업으로 제주 올레길과 산티아고 순례길을 각각 100㎞ 이상 걷고 두 길의 완주증서를 수령한 완주자가 한국(제주올레여행자센터) 또는 스페인(산티아고 순례자 안내센터) 완주증 발급처에 증서를 제시하면 공동완주증서 및 메달을 발급받을 수 있는 공동인증제가 지난해 9월부터 운영 중이다.

변덕승 제주도 관광교류국장은 “제주는 섬과 관광지라는 특성상 해외 지방도시와 다양한 교류활동이 있었고, 앞으로도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특히 제주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문화와 유산들을 활용한 제주형 지방외교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 김영헌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