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1년 새 생산단지 5배로... 정부가 '가루쌀'에 공들이는 까닭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1년 새 생산단지 5배로... 정부가 '가루쌀'에 공들이는 까닭은

입력
2023.05.16 18:00
수정
2023.05.16 20:14
0 0

이달 말까지 1만㏊ 참여 신청 접수
제품화 자신감에 쌀 수급안정 의지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달 27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가루쌀 미래 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달 27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가루쌀 미래 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정부가 ‘가루쌀(분질미)’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격과 면적 요건 완화 등으로 참여를 독려해 재배 단지를 올해의 5배 규모로 늘린다는 구상이다. 밀가루를 대신하기에는 역부족인 데다 갈 길도 멀다는 게 중론이지만, 정부는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왜 그렇게 공을 들이는 것일까.

농림축산식품부는 31일까지 내년도 가루쌀 생산단지 조성 사업 참여 신청을 접수한다고 16일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문턱이 낮아져 사업에 들어가기가 더 쉬워졌다. 기존 ‘식량작물 공동경영체(쌀 생산량 조절과 식량작물 생산ㆍ유통 여건 개선 등을 위해 정부가 공모ㆍ육성 중인 농업경영단체)’가 아니어도 참여가 가능하고, 최소 면적도 50㏊에서 30㏊로 줄었다.

인센티브(유인책)는 여전하다.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경영체에 교육ㆍ컨설팅 및 시설ㆍ장비를 지원하고, 농업인에게는 ㏊당 100만 원의 ‘전략작물직불금’을 지급한다. 가루쌀과 밀 등을 이모작 하는 경우에는 직불금이 250만 원으로 늘어난다. 단지에서 생산된 가루쌀은 전량 매입한다는 게 정부 약속이다.

이렇게 정부가 적극적인 것은 내년 가루쌀 생산단지 규모를 5배 수준인 1만㏊로 키우기 위해서다. 38개 생산단지가 운영되고 있는 올해는 총 2,000ha 규모다. 지난해에는 100㏊에 불과했다. 2년 만에 재배 면적이 100배가 되는 셈이다. 같은 기간 생산량은 475톤에서 100배가 훌쩍 넘는 5만 톤으로 많아진다. 2026년에는 현재 연간 200만 톤 남짓인 국내 밀가루 수요의 10%인 20만 톤까지 가루쌀 생산량을 늘린다는 게 정부 목표다.

증산은 수요가 충분하리라는 자신감의 발로다. 지금 농식품부는 농심, 삼양식품, SPC삼립, 풀무원, 해태제과 등 15개 식품업체를 선정, 면ㆍ빵ㆍ과자 등 종류별 가루쌀 제품 19개의 개발을 지원 중이고, 지역 베이커리 20곳의 40개 신메뉴 발굴도 돕고 있다. 이들 제품ㆍ메뉴가 가루쌀 수요를 견인하리라는 게 정부 기대다.

“밀가루 완전 대체 못해도 밥쌀보다 가루쌀”

정부가 붙들고 있는 것은 가능성이다. 가루쌀은 밀과 전분 구조가 비슷해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빻아 가루로 만들 수 있는 쌀 품종이다. 제분 비용이 덜 들기 때문에 쌀 제품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생육 기간이 일반 벼보다 20~30일 짧아 생산비가 적게 들고 밀ㆍ보리 등과 이모작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안유영 농식품부 가루쌀산업육성반 과장은 “밥쌀시장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반면 밀가루 가공식품시장 성장세는 안정적”이라며 “밀가루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다 해도 밥쌀보다는 가루쌀의 시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여전히 성공까지는 첩첩산중인 게 사실이다. 무엇보다 밀과 달리 빵과 면에 쫄깃한 식감과 풍미를 주는 ‘글루텐’ 성분이 없다는 게 가루쌀의 한계다. 신제품을 개발 중인 업계에서 가루쌀의 미래를 의심할 때는 대체로 이런 품질상 단점 때문인 경우가 많다. 가격 경쟁력도 아직 모자라다.

그런데도 정부가 가루쌀 증산에 매달리는 것은 고질적 공급 과잉인 쌀 수급 안정에 가장 실효적 해법이라는 판단에서다. 의지를 보이는 배경이다. 같은 쌀이다 보니 논을 그대로 쓸 수 있어 다른 품종보다 작목 전환을 유도하기 수월하고, 세계 최초로 개발된 품종이라 틈새시장을 공략하기도 좋다. 전한영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가루쌀은 수입 밀을 대체해 식량안보(식량자급률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데다 성장 가능성도 큰 국산 식품 소재”라고 말했다.

세종= 권경성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