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폭락 사태’가 할퀴고 간 증시…빚투・대기자금 모두 줄었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폭락 사태’가 할퀴고 간 증시…빚투・대기자금 모두 줄었다

입력
2023.05.14 16:30
14면
0 0

투자자예탁금 한때 50조 원 밑돌아
신용공여 잔고도 3주 만에 1.7조 ↓
대기업집단 하림지주까지 조작 취약
"주가조작,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

코스피가 전 거래일보다 15.58포인트(0.63%) 하락한 2475.42로 장을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뉴시스

코스피가 전 거래일보다 15.58포인트(0.63%) 하락한 2475.42로 장을 마감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뉴시스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무더기 주가 폭락 사태는 우리 증시 곳곳에 상흔을 남겼다. 무엇보다 투자 심리가 싸늘하게 식어가는 모습이다. 시장 신뢰 회복에 정부 당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1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예탁금은 무더기 하한가 사태가 발생한 지난달 24일 53조3,475억 원에서 이달 9일 49조5,630억 원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50조 원을 밑돈 건 지난달 10일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하루 만에 50조 원대에 복귀하긴 했지만, 최근 집계일인 11일까지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투자자예탁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사려고 증권사 계좌에 맡겨두거나, 주식을 판 뒤 찾아가지 않은 돈이다. 증시 진입을 준비하는 ‘대기성 자금’이라 투자 열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된다.

‘빚투(빚내서 투자)’ 과열 우려도 옛말이 됐다.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폭락 사태를 기점으로 우하향 곡선을 그리는 탓이다.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빌리고 아직 갚지 않은 주식 투자 자금을 뜻하는 신용공여 잔고(코스피·코스닥 시장 합계)는 지난달 24일 10개월 만에 최고치(20조4,319억 원)를 찍었다. 하지만 이후 꾸준히 감소해 11일 기준 18조6,574억 원으로 3주 만에 1조7,000억 원 넘게 줄어들었다.

모두 SG증권발 폭락 사태를 기점으로 내리막을 걷고 있다는 점에서 높아진 투자자 경각심을 짐작하게 한다. 반대매매 공포가 현실화하고, 주가조작 정황까지 드러나자 개미들이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12일 차액결제거래(CFD) 추정 반대매매 폭탄이 한 번 더 증시를 덮치면서 불안감은 증폭됐다. 디와이피엔에프와 신대양제지가 각각 29.93, 24.64% 폭락한 건데, 두 종목 모두 CFD 거래를 많이 하는 외국계 증권사들이 매도 창구 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 사태와 관련해 주가조작을 주도한 의혹을 받는 라덕연 투자자문업체 대표가 11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리는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 사태와 관련해 주가조작을 주도한 의혹을 받는 라덕연 투자자문업체 대표가 11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리는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무엇보다 국내 증시 신뢰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무더기 하한가 종목 중 하림지주는 대기업 집단에 속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1년도 기준 하림지주는 자산총액(공정자산) 기준 재계 순위 31위다. 대기업까지 주가조작 대상이 됐다는 사실 자체가 국내 증시의 취약성을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런 종류의 주가조작이 발생하면 투자자는 트라우마를 가질 수밖에 없고,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도 분명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시장 저평가)’ 요인이 된다”며 “주가조작범에게 철퇴를 내리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시장 감시 시스템 등 제도적 허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본격적으로 칼을 뽑아 들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는 국내 증권사 13곳과 외국계 증권사 5곳이 보유한 CFD 계좌 3,400여 개를 대상으로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연계 여부에 대한 집중점검에 나선다. 대상은 2020년 1월부터 지난달까지 거래 계좌다. 이상거래 혐의가 포착되면 금융위와 금감원이 즉시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필요한 경우 CFD계좌 개설이 본격화된 2016년까지 점검기간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유빈 기자
강진구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