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벼락 두통, '머리 속 시한폭탄' 뇌동맥류 파열 때문?

입력
2023.04.01 08:20
수정
2023.04.01 16:26
0 0
뇌동맥류는 파열되면 30%가량이 목숨을 잃을 정도로 위중한 병이므로 위험요인이 있다면 평소 정기 검진 등을 통해 병 유무를 파악하는 게 좋다. 게티이미지뱅크

뇌동맥류는 파열되면 30%가량이 목숨을 잃을 정도로 위중한 병이므로 위험요인이 있다면 평소 정기 검진 등을 통해 병 유무를 파악하는 게 좋다. 게티이미지뱅크

뇌졸중(腦卒中) 일종인 뇌경색(腦硬塞)이나 뇌동맥류(腦動脈瘤ㆍcerebral aneurysm)는 제때 대처하지 못하면 팔다리마비 등 후유증은 물론,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초응급 질환이다.

특히 ‘머리 속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뇌동맥류는 특히 온도가 낮아지고 일교차가 들쭉날쭉하면 혈압 변동폭이 커져 파열 위험성이 커진다. 뇌출혈되면 병원 도착 전(15%)과 치료 도중(28%)에 목숨을 잃을 정도로 치명적이다. 하지만 뇌동맥류는 평소 특별한 증상이 없어 알아채기 어려워 건강검진 등을 통해 대부분 발견된다.

이들 질환은 골든타임 내 치료하면 예후(치료 경과)가 좋지만 예방이 우선이다. 뇌경색과 뇌동맥류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신희섭 강동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비슷한 듯 다른 뇌경색과 뇌동맥류

뇌경색과 뇌동맥류는 뇌졸중의 일종이지만 발생 원인과 증상은 다르다. 뇌경색은 혈관이 혈전(blood clot)으로 막히는 질환으로,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서 뇌세포가 빠르게 괴사한다(허혈성 뇌졸중). 혈액 공급을 서둘러 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한쪽 마비와 같은 평생 후유 장애를 앓는다.

뇌동맥류는 혈관 일부가 꽈리처럼 불룩해지는 질환이다. 방치하면 압력으로 인해 얇은 부위가 터지는 ‘출혈성 뇌졸중(뇌출혈)’ 발생할 수 있다.

이전에는 뇌출혈 환자가 훨씬 많았지만, 지금은 전체 뇌졸중 환자의 60~70%가 뇌경색 환자다. 고령화와 함께 이상지질혈증·비만·심방세동 같은 부정맥 환자가 증가하면서 뇌경색이 많아지고 있다.

혈전은 심장이나 굵은 동맥 어디서나 생길 수 있다. 혈관에 생긴 노폐물 찌꺼기인 죽종(粥腫)이나 흘러나온 혈액이 응고돼 혈전이 만들어진다. 또 심장 기능에 문제가 생겨 혈전이 혈관을 떠돌아다니다 뇌혈관을 막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뇌경색, 발병 후 3시간 내 치료받아야

뇌경색과 뇌동맥류로 인한 뇌출혈은 원인이 다른 질환이기에 치료법도 다르다. 뇌경색은 골든타임(발병 후 3시간)이 예후(치료 경과)를 결정하지만 뇌출혈은 골든타임이 따로 없다. 뇌출혈은 무조건 빨리 치료해야 생명을 보장할 수 있다.

뇌경색일 때 발병 3시간 안에 혈전용해제를 투약하거나 시술해 혈류를 확보하면 뇌세포를 살릴 수 있다. 물론, 되도록 빨리 대처할수록 예후는 좋다. 뇌경색은 혈관이 막히면서 뇌세포들이 시시각각 죽어가기에 1~2분 차이로 예후가 달라질 수 있다.

뇌경색 치료의 기본은 혈전을 녹이는 용해제다. 그러나 모든 뇌경색 환자에게 혈전용해제를 투여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출혈 가능성이 있는 환자, 최근 큰 수술을 받았다거나 혈소판 수치가 낮아 지혈이 되지 않는 환자, 뇌출혈 경험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수축기(최고) 혈압이 185㎜Hg 이상일 정도로 혈압이 잘 관리되지 않은 환자도 제외된다. 절반 정도의 환자만 혈전용해제로 치료가 가능하다.

혈전용해제 사용이 어려운 환자는 혈관 내 혈전제거술을 사용해 치료한다. 혈전제거술은 카테터를 집어넣어 혈관을 막은 혈전을 빼내는 시술이다. 카테터 끝에 스텐트가 달려 있어 이를 펼쳐 혈전을 잡아 끌어낸다.

음압으로 빨아들이는 시술법도 있다. 시간은 30분이면 충분하지만 한 번에 혈전을 제거해야 하므로 정확하고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혈전이 제거되면 환자상태는 극적으로 개선된다.

혈전제거술을 시행하면 편마비가 풀려 정상적으로 걷는가 하면 어눌한 발음이 똑똑해지고 멍하게 허공을 바라보던 눈동자가 생기를 되찾을 수 있다.

뇌출혈은 골든타임이 없는 응급 상황이기에 빨리 치료할수록 예후가 좋다. 운 좋게 출혈량이 많지 않고, 혈액이 응고되면서 출혈이 멈추면 시간을 벌 수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출혈이 심하면 현장에서 사망할 확률이 높고, 응급처치를 받아도 평생 후유증을 남긴다.

뇌출혈이 발생했다면 재출혈을 막는 게 제일 중요하다. 동맥류가 다시 터져 2차 출혈이 시작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환자의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과 뇌압을 참고해 혈관 내 시술(코일색전술)을 할 것인지, 머리를 여는 개두술(開頭術)을 할지를 정한다.

혈관 내 시술, 즉 코일색전술은 타구니 동맥으로 카테터를 집어넣어 동맥류까지 진입시킨 뒤 백금 코일로 뇌동맥류를 메우는 시술이다. 시술 시간이 1시간~1시간30분 걸릴 정도로 빠르고, 주변 조직을 건드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뇌압이 높거나 동맥류의 위치에 따라 불가피하게 개두술을 선택하기도 한다.

◇흡연·폭음, 갑작스러운 혈압 상승 피해야

다행히 뇌경색과 뇌동맥류는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두 질환의 예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위험 인자인 흡연이나 폭음을 피해야 한다. 혈압을 갑자기 올리는 무게 운동, 숨을 오래 참는 수영, 찜질방 등도 피해야 한다.

야외 활동을 할 때는 목도리와 모자를 챙기고, 옷을 따뜻하게 입어야 한다. 실제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환절기부터 봄이 오는 3월까지 가장 많은 환자가 병원을 찾는다.

신희섭 교수는 “뇌경색을 예방하려면 비만이나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고혈압 같은 혈관 위해 요인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운동으로 혈관 탄력성을 길러주는 생활 습관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뇌동맥류는 이미 발생했더라도 파열되지 않으면 언제든지 대비할 수 있다. 정기검사로 뇌동맥류 여부를 확인하고 발견되면 제거하면 된다. 뇌동맥류 크기는 3~30㎜ 정도로 다양한데 최근 의학계에선 뇌동맥류 지름이 3㎜라도 제거를 권한다.

뇌동맥류 고위험군이라면 젊더라도 반드시 검사를 해보는 게 좋다. 뇌동맥류 형성에는 흡연, 고혈압, 여성호르몬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족력 영향도 있다.

뇌동맥류가 2개 이상인 사람의 직계 가족이라면 나이와 상관없이 검사가 권고된다. 고위험군이라면 반드시 정기검사를 받아 동맥류 변화를 확인해야 한다.

◇편마비ㆍ언어장애ㆍ두통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로

예방법을 열심히 실천해도 뇌경색과 뇌동맥류 발생을 완전히 막을 순 없다. 다만 두 질환 특징을 미리 알아둔다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신희섭 교수는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히면서 편마비 또는 언어장애가 온다”며 “얼굴이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균형을 잡지 못하기도 한다”고 했다.

신 교수는 “뇌동맥류에 의한 뇌출혈은 ‘벼락 두통’이 특징”이라며 “평생 이런 두통이 없다 싶을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기에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다면 바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