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에서도 바이오매스 발전이 친환경적이냐는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산업계와 탄소배출을 우려하는 환경·과학계 간 갈등이다.
지난해 유럽연합(EU)의 유럽의회(EP)는 바이오매스 사용을 제한하는 내용의 재생에너지 지침(RED III)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산림에서 수확한 모든 원목과 부산물을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로 규정하고, PWB를 바이오매스로 쓰면 재생에너지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 게 골자다.
PWB에는 산림에서 벌채한 나무, 나뭇가지, 뿌리, 밑동, 옹이 등이 해당한다. EU 회원국은 2030년까지 PWB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 사실상 화력 발전을 위해 나무를 잘라낼 경우 신재생에너지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겠다는 취지다.
이런 흐름은 바이오매스가 탄소배출을 가속화한다는 환경·과학계 비판에 따른 것이다. 미국 시민단체 천연자원보호협회(NRDC)는 목재펠릿(원목 40% 포함)을 사용하는 발전소가 일반적인 석탄 발전소보다 탄소배출량이 적어지려면 2070년이 지나야 한다고 분석했다.
물리적인 탄소배출량만 두고 보면, 목재가 석탄보다 탄소를 많이 배출하기 때문이다. 에너지 1테라줄(TJ)당 목재는 탄소를 11만2,000kg, 석탄(유연탄)은 9만4,600kg 배출한다. 다만 벌채한 자리에 다시 심은 나무가 자라면서 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2070년이 되면 바이오매스 발전의 탄소 순배출량이 더 줄어든다는 논리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등 과학계가 늦어도 2030년대 중반까지는 탄소배출을 급격히 줄여야 한다고 경고하는 상황이어서, 2070년 이후에야 탄소 순배출량이 줄어드는 바이오매스의 사용은 자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국내외 과학자 750명은 15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BD COP15)를 맞아 세계 정상들에게 산림 바이오매스 사용 중단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서한엔 "많은 국가가 산림 바이오매스를 '탄소중립적'이라고 잘못 여기고 있다"며 "이는 숲을 가장 필요로 하는 지금 오히려 숲을 파괴하는 것"이란 내용이 담겼다.
다만 EU도 2030년까지 구체적인 PWB 세부 감축 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논의 중인 단계다. 유럽 환경단체 FERN은 "사용량을 제한하지 않는 한 바이오매스를 얻기 위한 산림 벌채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