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부실화 대비 충당금 대거 늘려
연체율 악화됐지만 "우려 수준 아냐"
지난해 저축은행 업계 순이익이 전년보다 20% 가까이 급감했다. 부실 대출을 대비하기 위해 대손충당금을 늘린 여파다. 실제 원리금을 갚지 못한 대출 연체율은 악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이 24일 발표한 상호저축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저축은행 79개사의 작년 순이익은 1조5,957억 원으로 전년(1조9,646억 원) 대비 3,689억 원(18.8%) 줄었다. 2020년 1조3,895억 원 이후 증가하던 순이익은 지난해 감소세로 전환했다.
순이익 감소는 대손충당금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해 지속적인 금리 인상과 경기 악화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저신용자 대출에서 부실 위험성이 높아지면서, 저축은행 업계는 손실보전을 위한 돈을 미리 쌓아뒀다. 실제 지난해 저축은행의 이자이익은 전년보다 7,893억 원 증가한 반면,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그보다 많은 8,356억 원이 증가했다. 대손충당금은 회계상 손실로 기록되기 때문에 순이익도 그만큼 줄어든다.
부실 대출도 늘었다. 지난해 말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연체 대출) 비율은 4.1%로, 2021년 말(3.4%)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대손충당금 적립률)도 같은 기간 13.5%포인트 하락한 113.4%에 그쳤다.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높을수록 저축은행 건전성이 좋다고 평가된다. 저축은행 대출 연체율도 2021년 말보다 0.9%포인트 오른 3.4%였다.
금융당국은 위기 징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저축은행 수익성 지표가 나빠진 것은 맞지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연체율 등이 다소 악화됐지만,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말 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중앙회도 이날 설명자료를 통해 "현재 업계 건전성은 법정 기준치를 상회하는 113.4% 수준의 대손충당금 적립을 바탕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손실흡수 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등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심사기준 강화, 담보가치의 보수적 평가 및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을 통해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위한 사전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