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영조가 사랑한 이것, 정조는 돈벌이 수단으로 썼다

입력
2023.03.16 17:31
수정
2023.03.16 17:45
14면
0 0

인삼 프레임으로 보는 역사가 궁금하다면
신간 '작지만 큰 한국사, 인삼'

1910년대 압록강 건너편 안동(현재 단둥)에 홍삼 수출 바구니가 쌓여 있는 모습. 러시아가 조선에 대한 제반 분야 연구 결과를 모아 쓴 책 '한국지'에 따르면, 1896년 기준 한국의 인삼 수확은 약 1만8,630㎏에 달했고 가격으로 환산하면 60만 달러였다고 한다. 푸른역사 제공

1910년대 압록강 건너편 안동(현재 단둥)에 홍삼 수출 바구니가 쌓여 있는 모습. 러시아가 조선에 대한 제반 분야 연구 결과를 모아 쓴 책 '한국지'에 따르면, 1896년 기준 한국의 인삼 수확은 약 1만8,630㎏에 달했고 가격으로 환산하면 60만 달러였다고 한다. 푸른역사 제공

"엎드려 바라옵건대 우리 거룩한 임금께서는 건공탕(建功湯)을 거두지 마시옵소서."('건공가'의 첫대목)

1773년 80세의 영조는 정범조에게 건공탕을 주제로 시를 지어 올리게 한다. 건공탕은 영조의 건강을 지켜 준 약으로 영조가 직접 이름도 하사했다. 영조는 69세부터 하루 두 번 먹던 건공탕을 세 번으로 늘렸다. 이 약의 핵심 재료는 바로 인삼이었다. 그렇게 영조가 매일 먹은 건공탕으로 소비된 인삼만 1년에 20여 근(약 12㎏). 근검절약하며 관복을 해질 때까지 입었다는 영조조차 인삼 앞에선 누구보다 사치스러웠던 셈이다. 인삼 덕분일까. 영조는 83세까지 장수하며 52년간 권좌를 지켰다.

영조에 이어 정조는 어땠을까. 정조는 인삼을 재원을 마련하는 수단으로 이용했다. 정조는 1797년 포삼제를 실시했다. 포삼이란 인삼을 찐 홍삼으로, 정부가 공인한 청(淸)과의 홍삼 무역제도를 포삼제라 불렀다. 정조는 홍삼 밀무역을 막을 수 없다면 역관에게 홍삼을 가지고 갈 수 있게 하고, 대신 세금을 부과해 외교 비용을 충당하기로 결심한다. 신간 '작지만 큰 한국사, 인삼'이 인삼이라는 프레임으로 짚어낸 한국사의 단면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전매국 개성출장소와 인삼밭은 개성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볼거리였다. 전매국 개성출장소는 개성의 특산물 고려홍삼 제조 공장이었다. 이 사진은 전국에서 생산된 6년근 인삼을 모아 선별하는 작업 모습. 푸른역사 제공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전매국 개성출장소와 인삼밭은 개성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볼거리였다. 전매국 개성출장소는 개성의 특산물 고려홍삼 제조 공장이었다. 이 사진은 전국에서 생산된 6년근 인삼을 모아 선별하는 작업 모습. 푸른역사 제공

책은 인삼 문화사를 세계사적 관점으로도 조명한다. 자녀가 무려 142명이던 베트남 마지막 왕조의 개혁 군주 민 망 황제의 곁에 늘 고려인삼이 있었다는 사실이나 아편전쟁 직후 아편 해독에 인삼이 효과적이란 이유로 홍삼의 중국 수출량이 두 배로 뛰었다는 사실 등이다. 사료를 바탕으로 인삼을 중심으로 한 37개의 이야기를 엮은 미시사다. 지역 연구의 일환으로 인삼문화사 연구를 시작해 인삼의 고장인 개성과 금산 등 자료 수집과 연구에 공을 들였던 저자의 내공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한국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톺아보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할 만하다.

작지만 큰 한국사, 인삼·이철성 지음·푸른역사 발행·420쪽·2만2,000원

작지만 큰 한국사, 인삼·이철성 지음·푸른역사 발행·420쪽·2만2,000원


이근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