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화재 건수 10.6% 증가
인명 피해도 25%나 증가
사망자는 60, 70대 대다수
고령층 맞춤형 소방대책 필요
#. 지난해 초 부산 서구 1층짜리 단독주택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인근을 지나던 행인이 119에 신고했다. 화재 진압을 위해 주택에 진입한 소방관들은 출입구 부근에서 의식을 잃은 채 쓰러져 있던 70대 남성을 발견했다. 유독가스를 흡입한 데다 문까지 잠겨 있어 미처 빠져 나오지 못해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인구 고령화로 화재 사고 사망자 가운데 고령층 비중이 점차 늘고 있다. 화재 발생 시 골든타임으로 통하는 초기 진화와 대피에 상대적으로 고령층이 취약한 만큼 이들을 위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화재는 4만114건으로 집계됐다. 인명 피해는 사망자 341명, 부상자 2,321명이고, 재산 피해는 1조2,040억 원으로 추산됐다. 2021년과 비교해 화재 건수는 10.6%(3,847건), 인명 피해는 24.9%(479명) 늘었다. 남부지방 가뭄 장기화 등 이상기후와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따른 여가 활동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화재 사망자는 연령별로 70세 이상 105명(30.8%), 60~69세 86명(25.2%), 50~59세 76명(22.3%) 순으로, 고령층에서 사망률이 높았다. 특히 60세 이상 전체 사망자는 전년(152명)보다 66명이나 증가했다. 부산 서구 사례처럼 연기로 피난에 어려움을 겪거나 출구가 잠겨 사망한 경우가 많았다.
소방청은 고령인구ㆍ독거노인 증가와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분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10년 10.8%에서 2020년 15.7%로 10년간 5%가량 늘었고, 지난해에는 17.5%를 기록했다. 65세 이상 인구 가운데 20.8%는 독거가구다. 소방청은 “혼자 사는 노인가구가 증가하는 등 사회 환경적 변화에 따라 화재 패턴과 피해 추이가 달라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소방청도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화재 사망자 대부분은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에서 발생했다”며 “고령층을 비롯한 화재 취약계층에 소방안전교육과 대피훈련을 실시하고, 주택용 소화기와 화재경보기 무상 보급을 확대하는 등 화재 예방 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