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 3국, 러시아 침공 가능성에 가장 불안
국방비 강화하고 우크라 지원 촉구 등 목소리 높여
국제 사회 존재감 키워 러시아 야욕 차단 의도
지난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 러시아와 인접한 발트 3국(라트비아·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도 불안에 떨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언제든 '영토 재점령 야욕'을 뻗칠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발트 3국은 제2차 세계대전 때 구소련에 점령됐다가 1991년 소련 해체 때 독립했다.
불안감을 덜어내기 위해 발트 3국은 가장 먼저 국방력 강화에 나섰다. 우크라이나 지원에 머뭇거리는 서방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러시아와 외교 관계를 축소하는 등 '반러시아' 전선의 선봉에 서기도 했다. 국제사회에서 존재감을 키워 러시아의 영토 침략 야욕을 사전에 막겠다는 의도였다.
"국방 예산 3%로" 방위력 강화 앞장
우크라이나 전쟁 후 발트 3국이 가장 먼저 신경 쓴 것은 국방력 강화다. 국방 예산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3%'로 올리겠다는 계획도 일찌감치 세웠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권고하는 'GDP 대비 2%'보다 높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바꾼 '국가 안보 정책 기조'를 2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러시아의 실존적 위협이 증명됐으니 국방력을 더 키워야 한다"는 게 골자다. 에스토니아는 국방 예산을 지난해 2.35%에서 올해 2.85%로 올렸는데, 내년에는 3%로 맞출 예정이다.
에스토니아는 특히 한국산 무기 구매에도 적극적이다. 최근 한국산 자주포 K9 12문을 추가로 구매했다. 2026년 이전 인도 완료 조건이다. 국방 전략을 짜고 나토와의 소통을 담당하는 쿠스티 살름 에스토니아 국방부 사무총장은 "납기 일정을 당겨 주면 방위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국일보에 거듭 강조했다.
리투아니아의 올해 국방 예산은 2.5%지만 '중대한 위협'이 있으면 3%까지 쓸 수 있다. 바이도타스 우벨리스 리투아니아 정책국장은 "국방 예산을 3%로 고정하기 위한 협의가 정치권에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라트비아는 2027년까지 3%를 달성하겠단 계획이다.
"서구, 머뭇거리지 마라" 압박 최전선
유럽연합(EU) 등 서구 사회가 우크라이나에 더 많은 지원을 해야 한다고 앞장서는 것도 발트 3국이다. 최근엔 독일이 자국 탱크 '레오파르트2' 지원을 머뭇거리자 비판 목소리를 가장 크게 냈다.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가장 높은 강도로, 가장 먼저 실천해 EU의 운신의 폭을 넓혀 주는 국가도 이들이다.
요즘엔 7월 나토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 '발트 3국 방공망 강화'를 중심 의제로 만들기 위해 분주하다. "미사일, 드론 등을 막아낼 무기를 더 배치해 달라"는 요구다. 우벨리스 국장은 "발트 3국은 (경제적 규모가 크지 않아) 비싼 방공망에 더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다"며 "동맹국 협력이 절실하다"고 했다.
"러시아 외교관 필요 없다" 관계 끊어내기
발트 3국은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를 잘라내는 데도 거침이 없다. 에스토니아는 이달 초 자국 주재 러시아 외교관 규모를 17명에서 절반으로 줄이기로 했다. "'양국 관계 발전'에 기여하지 못하는 외교관은 둘 필요가 없다"는 게 이유였다. 라트비아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일(다음 달 24일)을 기점으로 대사관 규모를 줄인다.
푸틴 대통령은 전쟁을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접경국 벨라루스는 러시아와 합동 군사 훈련을 확대하는 등 부쩍 전쟁 합류 조짐을 풍기고 있다. 안보 불안이 커질수록 국제사회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한 노력도 커질 것이다. 살름 사무총장은 "전쟁 이후 보여온 발트 3국의 강경한 기조엔 결코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