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기상가뭄'도 157일, 역대 두 번째
지난해 봄부터 이어진 최악의 가뭄에 남부지방이 227일간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 이래 가장 오랜 기간 지속되고 있는 '기상가뭄'이다.
기상청은 지난해 가뭄 상황을 지역별·일별로 정리한 '2022년 연 기상가뭄 발생 특성' 자료를 18일 발표했다. 기상가뭄은 지역별로 최근 6개월 강수량 평균값이 관측 시작 연도(1974년) 이후 같은 기간 평균값보다 낮은 경우를 뜻한다.
지난해 전국 기상가뭄 발생 일수는 157일이었다. 1974년 이후 두 번째로 길다. 가장 길었던 해는 2015년으로 168.2일간 지속됐다.
특히 남부지방은 기상가뭄이 227.3일로 관측 이래 최장 기록이다. 역대 두 번째인 2017년(162.3일)보다 65일이나 더 지속됐다. 지난해에 이어 현재도 가뭄은 계속돼 전남 완도군 등 일부 도서지역은 2일만 물을 공급하고 5일은 끊는 제한급수를 시행하고 있다.
남부지방의 극심한 가뭄은 지난겨울 전국적으로 심각했던 가뭄이 여름철에 해소되지 못한 결과다. 지난해 전국의 겨울·봄철 강수량은 평년의 14.7%, 62.1% 수준으로 적었다. 이로 인해 2~4월 전남과 경남, 충북, 강원에 기상가뭄이 발생했고 5월 초에는 전국으로 확대됐다.
겨울에 가뭄이 극심한 것은 2020년부터 3년째 지속되고 있는 라니냐(La Nina) 영향으로 해석된다. 라니냐는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는 현상인데, 이 경우 한국은 겨울철에 가무는 경향이 있다. 라니냐 자체는 정상적인 기후시스템에 따른 자연현상이지만 올해는 21세기 들어 처음으로 3년째 라니냐가 지속되고 있다. 라니냐가 2년 연속 발생한 것도 1990년 이후 세 차례뿐이다.
지난해 중부지방 가뭄은 여름철 한반도에 비구름대가 유입되며 해소됐다. 그러나 남부지방에는 발달한 북태평양 고기압 때문에 비구름이 내려오지 못했다. 광주·전남 지역 연강수량은 854.5㎜로 평년보다 39.1%나 적었다.
정지훈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이번 가뭄은 굉장히 긴 기간 지속되는 이례적 현상"이라며 "기후시스템의 변화로 한 번 가물 때 더 많이 가물고 습할 때는 더 많이 습한 '기후 진폭'이 커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