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육박... 1990년 집계 이래 첫 역전
평균 초혼 연령은 여 31.1세·남 33.4세
이제 30대 신부(新婦)가 대세다. 18배나 되던 격차를 좁히고 30여 년 만에 결국 20대를 추월했다. 초혼 연령도 30년 전보다 6세 넘게 많아졌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올라와 있는 ‘2021년 인구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여성이 초혼일 때 신부 연령대가 30대인 경우가 7만6,900건(49.1%)으로 전체(15만6,476건)의 절반에 육박했다. 20대가 7만1,263건(45.5%)으로 다음이었고, 이어 40대(6,564건ㆍ4.2%), 10대(798건ㆍ0.5%), 50대(724건ㆍ0.5%) 순서였다. 여성 초혼 건수에서 30대가 20대를 역전한 것은 1990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격세지감이다. 1990년만 해도 20대 여성의 초혼 건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33만3,000건으로 30대 여성(1만9,000건)의 18배에 이를 정도였다. 하지만 만혼(晩婚)이 주류로 발전하는 속도는 빨랐다. 결혼식장에서 20대 신부가 드물어졌고, 그 결과 10년 뒤 2000년에는 20대(24만1,000건)와 30대(3만1,000건) 초혼의 간격이 8배가량으로 줄었다. 10년이 더 지나고 나서는(2010년) 30대 첫 결혼(8만5,000건)이 20대(17만3,000건)의 절반 언저리까지 도달했다.
신부 세대 교체 배경이 만혼 추세만은 아니다. 20대 여성이 결혼을 늦추기만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완만한 30대 신부 증가폭과 달리 아주 가파른 20대 신부 감소폭을 보면, 고령화를 감안해도 젊은 여성의 주요한 미래 선택지에 비혼(非婚)이 포함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 1990년만 해도 37만1,000건에 달했던 여성의 첫 결혼은 2000년 28만3,000건, 2010년 26만9,000건, 2020년 17만5,000건을 거쳐 2021년 들어서는 1990년 규모의 42.2%에 불과한 15만6,000건까지 급감했다.
원래 여성보다 결혼이 늦었던 남성의 경우 20대 신랑보다 30대 신랑이 흔해진 게 벌써 근 20년 전이다. 이미 2005년에 30대 초혼 건수(12만1,000건)가 20대(11만9,000건)를 넘어섰다. 여성과 마찬가지로 남성도 30여 년 전에는 20대 때 첫 결혼을 하는 경우(28만9,000건)가 30대(7만2,000건) 때에 비해 훨씬 많았지만, 2021년 기준으로 30대 남성 초혼 건수(9만9,000건ㆍ61.7%)는 20대 남성(4만4,000건ㆍ27.6%)의 2배를 웃도는 게 현실이다. 40대 남성의 초혼 건수(1만5,000건ㆍ9.0%)도 10%에 근접하고 있다.
여성마저 20대 결혼을 주저하며 평균 초혼 연령은 남녀 모두 30세를 훌쩍 넘었다. 2021년 기준 남녀 각 33.4세, 31.1세로 집계됐는데, 첫 결혼 나이가 남자 27.9세, 여자 24.8세였던 30년 전(1991년)보다 각각 5.5세, 6.3세 올라간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