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 일평균 37건 배달, 103㎞ 운행
종사자, 코로나 후 2배... 43%가 사고
코로나19 이후 배달업 종사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의 43%가 교통사고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배달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7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이 제정된 이후 처음 진행하는 조사로 음식 배달업 종사자와 이용자 등 서비스 전반에 대해 이뤄졌다.
배달업 종사자는 2019년 상반기 11만9,626명에서 올해 상반기 23만7,188명으로 2배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배달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파악한 운영업체 수는 소비자와 음식점을 중개하는 주문중개 플랫폼 37개, 배달대행업체와 음식점을 연결하는 배달대행 플랫폼 51개, 배달대행업체 7,794개다.
정부가 6개 도시 배달업 종사자 1,2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4.3명은 최근 6개월간 교통사고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 원인으로 △촉박한 배달 시간에 따른 무리한 운전(42.8%) △상대 운전자의 미숙 또는 부주의(41.4%) 등이 꼽혔다.
배달업 종사자들은 월 평균 약 25.3일 일해 약 381만 원을 벌어 보험료, 대여비 등 지출 약 95만 원을 제하면 286만 원이 남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루 평균 배달 건수는 주중 37.4건, 주말 42.3건으로 운행거리는 각각 103㎞, 117㎞에 달했다.
근로 여건 개선을 위해 '배달 수수료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43.8%로 가장 많았고, 노동자 지위 인정(13.7%), 갑질 완화(12.9%), 위험 보상(12.5%)이 뒤를 이었다.
정부가 음식 배달서비스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88%는 배달앱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빈도는 월 3~5회가 42%, 시간대는 저녁 시간(오후 5~8시)이 67%로 가장 많았다. 66%는 단건 배송을 선호했고, 50%가 20~30분 내 도착하는 것을 희망했다.
소비자들은 배달료로 음식값의 약 10%가 적정하다고 답했다. 배달료는 평균 2,000원대(57%)로 나타났다. 높은 배달료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구현상 국토부 물류정책관은 "정확한 시장 환경 분석을 위해 보다 정교한 방식으로 매년 실태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