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부실, 가계부채가 최대 위험
경제·금융수장들 28일 비상 경제회의
1년 안에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에 충격이 닥칠 가능성이 크다고 본 경제 전문가들의 응답이 반년 새 두 배로 늘었다. 불어난 가계 빚은 고금리를 버티기 힘들고, 갈수록 경기 체력이 약해지면서 기업들의 부실 위험도 커진 탓이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올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를 보면, 금융·경제 전문가 72명 중 '1년 이내 금융 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단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매우 높음' 또는 '높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8.3%에 달했다. 올해 5월 상반기 조사에선 이 응답이 26.9%에 그쳤는데, 6개월 만에 2배 넘게 급증한 것이다. 반대로 '낮음' 또는 '매우 낮음'이란 응답은 종전 32.1%에서 5.6%로 크게 떨어졌다.
이 조사는 한은이 2012년부터 매년 두 차례씩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주요 경제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금융시스템 위험 요인 등을 묻는 조사다.
이들 전문가들은 금융시스템을 위협하는 가장 큰 위험 요인이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 위험 증가(27.8%)'라고 지목했다.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16.7%)',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13.9%)'가 그 뒤를 이었다.
위험 순위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 응답(5가지 요인 복수 응답) 빈도수로 따져도, '가계의 높은 부채(69.4%)'와 '기업 부실 위험(62.5%)'이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금융취약성이 가장 부각될 금융업권에 대한 조사에선 저축은행, 증권사, 캐피털사 등 비은행업권이 지목됐다. 제때 빚을 갚기 힘든 취약차주 비중이 높아 자산 부실화 위험이 크고,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험 노출액이 크다는 이유를 들었다.
전문가들은 자금시장 경색을 막기 위한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도 중요하지만,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 관리도 강화해야 한다고 봤다. 금융시스템 내 잠재적 위험을 파악하기 위해 금융당국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강화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와 관련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창용 한은 총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경제·금융수장들은 28일 오전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한다. 최근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등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동향과 연말·연초 금융시장의 주요 위험 요인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이날 비상 거금회의는 이달 3일 미국의 4연속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에 따른 개최 이후 한 달 만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