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명기 성공… 전체 동의는 못 얻어
발끈한 러시아, 발표 전 G20 회의장 떠나
식량 안보 확보·통화정책 조율 등 성과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이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를 비판하는 내용이 포함된 '발리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특정국을 명시해 전쟁의 책임 소재를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다만 20개국 전체의 동의를 받진 않았다.
"우크라 전쟁, 세계경제 취약성 악화시켜"
16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폐막한 G20 정상회의는 '발리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공동선언은 "올해 우리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세계 경제에 더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격했다"며 "올해 3월 유엔이 러시아의 침략을 규탄한 것처럼 G20도 같은 입장을 반복한다"고 적시했다.
공동선언은 "대부분의 G20 회원국들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강력히 비난한다"고 했다. 이어 전쟁이 △경제성장 억제 △물가 상승 △공급망 교란 △에너지·식량 불안 △금융안정 위험 증가 등의 후폭풍을 유발했다고 지적했다. 최근 국제 경제 위기의 책임이 러시아에 있다고 지목한 것이다.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금지'와 '국제법 준수'라는 대원칙에는 G20 회원국 모두가 동의했다. 공동선언은 "핵무기 사용과 위협은 용납될 수 없다"며 "갈등의 평화적 해결과 외교적 대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다른 견해·평가 있다" 한 줄 남기고 떠난 러시아
러시아 대표단은 이 같은 상황을 예상한 듯 발리를 일찍 떠났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대신해 러시아 대표로 참석했던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은 15일 출국했다. 이는 공동성명 초안이 15일 공개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라브로프 장관은 러시아로 돌아가기 직전 러시아 언론 인터뷰에서 "G20이 미국 주도의 '반(反)러시아 플랫폼'에 따라 공동선언을 정치화하고 있다"며 "G20의 정신을 훼손하고 우리를 비난하기 위해 진행된 이번 정상회담은 이미 실패했다"고 반발했다.
공동선언에는 러시아의 입장도 반영됐다. "(공동선언 내용과 관련해) 상황과 제재에 대한 다른 견해와 다른 평가가 있었다"는 대목이다. 러시아 우방인 중국은 공동선언 작성 과정에서 "'전쟁'이라는 단어 대신 '위기'라고 쓰자"고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G20, 글로벌 경제위기 해법도 제시
G20은 이번 정상회의의 실질적 의제인 '글로벌 경제 회복'에 대한 해법도 내놓았다. 우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시작된 전 세계 식량안보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해 러시아·우크라이나에서 생산한 농작물의 수출로인 흑해의 곡물 이동을 보장하는 데 합의했다. 또 "G20 소속 중앙은행들이 긴축 통화정책의 속도를 계속 보정하면서 국경 간 파급효과를 염두하는 조율 작업을 진행하겠다", "석탄 사용량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등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하겠다"는 문구도 공동선언에 넣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