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적자 큰 폭 축소, 정유 수출 증가 등 영향
지속 금리인상으로 경기침체 전망도 여전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 증가율이 2.6%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첫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며 기술적 경기 침체 상태에서 벗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플러스 성장은 지난해 4분기 이후 처음이지만,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의 여파로 인한 내년 경기침체 우려도 여전하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은 전분기 대비 연율 2.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경제는 지난 1, 2분기 잇따라 역성장해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기술적 경기 침체의 정의를 충족한 바 있다.
미국 상무부는 수출, 소비자 지출, 비주거 고정투자, 연방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출 증가가 3분기 GDP 증가에 공헌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무역적자가 크게 축소되면서 GDP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상반기 역성장의 '주범'이었던 무역적자는 3분기 수출이 14.4% 증가했지만, 소비 둔화로 수입은 6.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가에 힘입어 정유 제품 등의 수출도 증가했다고 미 상무부는 전했다.
반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 금리인상과 그에 따른 주택시장 침체 여파로 주거용 고정투자와 민간 재고투자는 감소했다.
예상을 뛰어넘은 3분기 GDP에도 미국 경제의 침체 전망은 여전하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인상과 긴축 통화정책으로 지출이 줄고 실업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3분기 GDP에서 소비자 지출은 1.4% 증가해 2분기 2.0%보다 성장폭이 둔화됐다. 연준은 11월에도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돼 이런 우려를 더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