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이 26일 윷놀이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 윷놀이의 역사가 최소 조선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윷놀이가 가족과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단절 없이 전승이 유지된 한편, 윷판의 형성과 윷가락의 상징성 또한 학술적 연구 주제로서 활용도가 높은 점이 이유로 꼽혔다.
윷놀이는 참가자들이 편을 나누어 윷가락 4개를 던져서 진행하는 놀이다. 윷가락이 엎어지고 젖혀진 상태에 따라서 윷판의 모든 말을 목적지에 먼저 도달시키는 편이 이긴다. 정초부터 정월대보름까지 가족이나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즐기는 전통 놀이문화다.
이날 문화재청에 따르면 윷놀이는 일찍부터 한반도 주민과 함께했다.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 문헌에서는 윷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용어가 등장하지는 않으나 윷을 '저포(樗蒲)'와 동일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혼용해 지칭하기도 했다. 저포는 나무로 만든 주사위를 던져서 승부를 다투는 백제 시대의 놀이다. 조선 시대 초기에는 윷놀이에 해당하는 '사희(柶戲)'라는 용어가 나타났고 조선 시대 중기와 후기에는 '척사(擲柶)'라는 용어가 나타나 일제강점기와 현대까지 사용됐다.
조선 시대부터는 김문표(1568~1608년) 이규경(1788~1856년) 등 학자들이 윷놀이의 방식과 상징적 의미를 연구해 문헌으로 남겼다. 윷놀이에서는 민족의 우주관과 천문관이 드러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30일 정도의 예고 기간 동안 윷놀이에 대한 각계 의견을 수렴한다. 이후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서 윷놀이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계획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