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대우조선 잔혹사

입력
2022.07.25 18:00
26면
0 0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유최안 대우조선해양 하청지회 부지회장이 대우조선 하청노사 교섭이 타결된 22일 오후 한 달여간 농성을 벌이던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1독(선박건조시설)에서 나와 병원으로 후송되고 있다. 금속노조 제공

유최안 대우조선해양 하청지회 부지회장이 대우조선 하청노사 교섭이 타결된 22일 오후 한 달여간 농성을 벌이던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1독(선박건조시설)에서 나와 병원으로 후송되고 있다. 금속노조 제공

대우조선해양의 위기는 1998년 외환위기 때 시작됐다. 대우그룹 해체 속에 대우중공업은 중장비, 군수, 항공 부문을 쪼개 매각했고, 조선만 채권단 손에 남겼다. 이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6년 불황이 닥쳤고 그 사이사이 호황도 맞았지만 부실은 깊어갔다. 최근 10년 누적 순손실이 7조7,446억 원이다. 지금까지 투입된 혈세가 무려 11조8,000억 원이고 2015년 이후만 7조 원이 넘는다.

□ 불황과 매각 무산의 불운만 탓할 순 없다. 2010년대 5조 원대 분식회계 전력이 화려하다. 매출을 부풀리는 분식회계로 대우조선은 21조 원 사기대출을 받고 약 5,000억 원을 성과급으로 나눠먹었다. 검찰 수사 전까진 정확한 분식회계 규모를 경영진도 몰랐다. 2012~2015년 재임한 고재호 전 사장과 김갑중 전 부사장은 해명이랍시고 “2008년부터 해온 관행”이라 주장했는데 대체로 사실이었다. 이들과 회계사들이 징역형과 손해배상 판결을 받았으나 그들만의 책임일까.

□ 주인 없는 회사를 뜯어먹은 이들은 많다. 국회의원·국정원 출신 등 친여권 인사들과 주채권자인 산업은행 출신들이 이사·고문·자문으로 재직했다. 회삿돈으로 인사청탁도 했다. 남상태 전 사장은 자신과 민유성 전 산업은행장 연임 로비를 위해 21억 원 홍보(사실상 로비) 계약을 맺었다. 고 전 사장은 주요 일간지 전 주필의 처조카를 취업시켜 주고 연임 청탁을 했고, 강만수 전 산업은행장 이름으로 정치 후원금을 냈다. 해당 주필은 호화 요트여행 등 수천만 원 향응을 받고 청와대 수석에게 인사청탁을 했다. 2심 재판부는 이를 인정하고도 “직무연관성이 없다”며 무죄로 뒤집었다. 이들을 수사했던 검사들은 라임 사태 주범으로부터 술 접대를 받고 3명이 징계됐다. 접대비를 99만 원에 맞춘 '기적의 산수’로 형사처벌은 피했다.

□ 22일 농성을 끝내고 많은 과제를 남긴 대우조선의 잔혹사다. 그동안 기업은 인력 70%를 하청에 넘기고 숙련공에게 최저임금 수준을 줘서 버텼다. 진짜 필요한 경영혁신은 없었다. 탐욕과 무능과 무책임이 있었고, 정부는 방조했다. 대우조선 정상화의 길이 정녕 법과 원칙인가.

김희원 논설위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