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관리시스템·화재확산방지 기술 마련
배터리셀 제조 단계에서 안전성 강화 필요
전기차 화재, 실제론 내연기관차 '절반' 불과
화재 재발 방지 위해 투명한 조사·정보공개 필요
최근 코나 일렉트릭(EV), 아이오닉5, 볼트EV 등의 화재 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의 전기차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불자동차'라는 말까지 생겼다. 이런 가운데 정부 관계자와 업계 전문가들이 전기차 화재 관련 원인을 찾고 그 대책을 마련하는 자리를 마련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은 전기차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선 배터리, 전기차 제조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송지현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 중대사고조사처장은 21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가 주최한 심포지엄 '전기차, 왜 자꾸 불이 날까'에서 전기차 배터리 자체적인 품질 향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송 처장은 "전기차 화재 예방의 가장 기본은 고전압 배터리의 품질을 높여 화재 발화 요인을 줄이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품질 불량을 '제로(0)'로 만들어 단 한 건의 화재도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도 "배터리셀 업체들이 설계, 제조 기술 고도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BMS 기능을 강화하고 화재 발생 시 경보 기능이나 '열폭주'(전기차 배터리가 폭발과 함께 큰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 전이 지연 성능 등을 갖추게 하면 안전성이 훨씬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KATRI 부원장 출신인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은 전기차 화재가 리튬이온 배터리의 한계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열이 빠르게 축적되고, 이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다. 또 산소와 만나게 되면 열폭주가 발생한다.
이 고문은 "화재 예방을 위해 BMS로 과방전·충전을 막는 등 최소한의 노력이 있지만,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선 결국 역폭주를 제어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며 "업계에선 난연재질의 소재를 개발하고, 셀 간 열전이를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하고, 부득이하게 화재가 발생했다면 '전기차 화재'라고 명확하게 신고해야 빠른 진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최영석 한라대 미래모빌리티공학과 겸임 교수는 전기차 화재 재발을 막기 위해 화재에 대한 조사와 정보 공개가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차량 결함 및 전기차 전문가로서 조사 업무를 지원했다는 그는 "정확한 조사와 함께 명확한 정보 공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발생한 사고들에 대한 사례를 공유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을 언급했다. "전기차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순간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고 열전도를 막기 위해 물을 쏟아 붓게 되면 열폭주가 뒤따르는 어려움이 있다"며 "현존하는 기술로는 수조에 넣고 열전도를 막고 반응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소극적인 방법밖에 없다는 것이 걱정을 배가시키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박균성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 자동차안전팀장은 안전인증 체계 고도화와 전문인력 확충을 강조했다. 박 팀장은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 등 핵심 장치에 대한 안전기준을 보강하고 화재에 대응할 수 있는 ①BMS ②화재 확산방지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정부는 판매한 완성차가 문제가 생겨도 사후에 알고 조사할 수밖에 없다. 향후에는 사전에 문제를 파악,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