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대비 아파트 가격 네 배나 올라
임금 두 배 상승 그쳐... "격차 더 벌어져"
"공공 역할 강화, 값싼 아파트 공급 필요"
지난 18년 동안 서울 아파트 한 채 가격이 평균 9억 원 넘게 올랐다는 시민단체의 분석이 나왔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서울에서 내집을 마련하기까지 36년이 걸린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2004년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서울 시내 75개 아파트 단지 12만4,000가구의 시세변동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래현황 등을 분석 자료로 삼았다.
조사 결과, 서울 시내 99.17㎡(30평형) 아파트 가격은 2004년 3억4,000만 원에서 올해 12억7,800만 원으로 약 9억4,000만 원 상승했다. 집값이 네 배 가까이 비싸진 셈인데, 같은 기간 노동자 연평균 임금은 1,900만 원에서 3,600만 원으로 두 배 정도 오르는 데 그쳤다. 정택수 경실련 정책국 부장은 “2004년에는 18년 동안 급여를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울에 집을 살 수 있었는데, 지금은 두 배인 36년을 꼬박 저축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와 비(非)강남 지역의 99.17㎡ 아파트 가격 차이도 같은 기간 3억8,000만 원에서 15억1,000만 원까지 네 배로 벌어져 역대 최대 격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분양가상한제ㆍ종합부동산세 완화, 민간주도 공급 확대 등 윤석열 정부의 느슨한 부동산 정책이 오히려 집값 상승을 부추겨 투기 세력의 ‘버티기’에 동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부장은 “최근 5년간 아파트 가격 추이에서 보듯 금융정책이 집값을 떨어뜨려도 공급확대 투기조장책이 발표되면 집값은 다시 올랐다”며 “현 정부가 세제감면, 규제완화, 투기조장 공급확대를 추진할 경우 부동산 시장을 다시 자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단체는 무주택자의 주거안정을 위해선 집값이 최근 일부 실거래가 하락 수준 이상으로 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실련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지만, 전면 하락세로 이어지지는 못했다”면서 “주택 가격이 떨어졌던 2010~2014년처럼 공공의 역할을 강화해 저렴한 아파트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