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스마트 공장 도입 중소기업 3만 개 넘을 듯
보편적 지원하에 77.9%는 '기초' 단계에 머물러
정부가 스마트 공장 구축 사업을 시작한 지 올해로 9년째. 그 사이 대기업들은 대부분 스마트 공장을 도입해 일부가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공장을 제어하는 고도화 단계에 이른 반면, 중소기업은 도입 기업의 70%가량이 '기초' 단계에 머무르는 등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스마트 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은 총 2만5,039개로, 연내 3만 개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앞서 2018년 12월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발표하며 2022년까지 스마트 공장 3만 개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같은 해 3월에 제시했던 2만 개에서 1만 개를 늘린 것으로, 당시 "스마트 공장 구축을 넘어 제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겠다"는 포부까지 밝혔다.
스마트 공장의 성과는 실로 눈부셨다. 2014~18년에 스마트 공장을 구축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생산성과 품질, 납기 준수율이 각각 28.5%, 42.5%, 16.4% 향상된 반면, 원가는 15.5% 떨어졌다. 자연스레 매출도 7.4% 증가했다. 기술이 향상되면 고용이 줄 거란 우려와 달리 고용도 기업당 평균 2.6명 늘었다. 인간이 생산에 관여하는 정도가 줄어드니 산업재해도 16.2% 감소했다.
문제는 대부분 중소기업들이 정보통신기술(ICT)과 생산 설비 융합을 통한 공장 자동화 정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 공장 수준은 크게 ①기초 ②중간1 ③중간2 ④고도화 등 4단계로 나눠지는데, 현재 77.4%가 실적 집계 자동화와 같은 기초 수준에 몰려있다. 실시간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중간 1단계는 20.7%, 실시간으로 공장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중간 2단계는 0.6%에 그친다. 고도화 단계에 도달한 곳은 아직 없다. 그 동안 스마트 공장을 구축할 뜻만 있으면, 업종이나 업체 크기에 관계없이 지원하는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양보다 질'을 강조하며 "앞으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개별 기업의 역량을 구별한 다음 수준을 감안해 맞춤형 고도화를 촉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최대한 많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췄고, 이는 스스로 투자할 여력이 부족한 기업이 기초 수준의 스마트 공장을 구축할 때는 효과적이지만 고도화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생산 공정 외에 마케팅·판로 지원 정책까지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창업벤처연구실장은 "스마트 공장을 통해 생산성은 높였지만 정작 만든 제품이 팔리지 않으면 성과가 반감된다"며 "생산과 유통 판로를 함께 개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