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시설 에너지 생산 설비용량 2배 늘려
2030년 에너지 생산량<소비량 목표
"온실가스 657만톤 추가 감축 가능"
정부가 에너지원으로서 엄청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폐자원과 물을 더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로 했다. 하수처리장이나 정수장 등 환경시설의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두 배 이상 확대해 2030년 에너지 소비량보다 생산량이 더 많도록 하는 '순생산시설'로 전환하는 게 목표다.
환경부는 이번 정부 임기 내 전국 환경시설 에너지 생산 가능 설비용량을 현재(1.57GW)의 약 두 배인 3GW로 늘리는 내용의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방안'을 21일 발표했다. 2026년까지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5,764GWh(기가와트시), 즉 4인 가구 기준 138만 가구가 1년간 쓸 수 있을 만큼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으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맞추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전국의 환경시설은 1,341곳으로 △음식물 등 폐자원처리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110곳 △정수장 516곳 △공공 하수처리시설(500톤 이상) 678곳 △댐 37곳이다. 현재 이곳에선 연간 3,264GWh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는데, 문제는 정작 이 시설들이 정수 및 하수 처리과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량이 7,625GWh로 생산량에 비해 두 배 이상 많다는 것이다. 환경시설이 '에너지 다소비 시설'로 분류되는 이유다.
환경부는 에너지 설비용량을 늘려 궁극적으로는 에너지 생산량을 소비량보다 늘릴 계획이다. 먼저 바이오가스 생산 확대를 위해 그간 90% 이상 사료나 퇴비로 처리되던 음식물류 폐기물, 하수 찌꺼기, 가축 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을 에너지로 재활용하기로 했다. 지난 10년간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2배 증가했으나 전체 발생원의 5.7% 수준에 불과했다.
오민영 환경부 재생에너지 태스크포스(TF) 팀장은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연간 3.6억 노멀입방미터(N㎥)에서 5억N㎥로 늘릴 예정인데, 이는 지난해 국내 도시가스 공급량의 약 2% 수준"이라며 "바이오가스 생산 뒤 고압의 정제과정을 거치고, 도시가스사업법 기준에 맞춰 85~90% 이상의 메탄 순도를 가진 가스를 공급한다"고 설명했다.
물관리 환경시설의 에너지 설비도 확충한다. 대표적인 곳이 정수장과 하수처리시설 및 댐으로, 환경부는 2026년까지 에너지 생산가능 설비용량을 2.9GW 수준으로 늘려 연간 생산량을 4,800GWh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번 사업으로 2026년까지 1,812억 원, 2030년까지 3,226억 원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대체 효과가 생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력 대체 효과는 2030년 기준 6,957억 원에 달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657만 톤을 추가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NDC(2만9,100만 톤) 대비 2.7%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