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간 돌려막기' 현실성 없어
파이로 프로세싱 등 기술 개발해야
"전담 독립기구 및 국민적 공감대 형성돼야"
윤석열 정부의 ‘원전 최강국’ 기조에 따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 포화 시점이 앞당겨질 것이 유력한 상황에서 원전업계 및 학계에선 사용후핵연료 처리 기술 연구에도 투자와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의 위험성을 낮추는 기술을 개발하면, 방폐물 최종 처분장 설치를 위한 주민 동의에도 유리할 뿐 아니라, 원전 수출에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을 포함하는 ‘패키지 딜’을 할 수 있는 이점까지 노려볼 수 있기 때문이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각에선 방폐물 처리 여유를 늘릴 한 방편으로 현재 원전 부지 내 임시 저장시설 ‘돌려막기’를 거론한다. 가장 먼저 저장시설 포화가 예상되는 고리나 한빛 원전 본부의 방폐물을 아직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새울이나 신월성 본부로 이전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원전 지역 간 사용후핵연료 이동을 금지하고 있는 관련 규정상 이는 불가능하다. 설령 관련 규정을 개정한다 하더라도 국내 조달이 안 되는 해외 용기를 수입해 사용하기까지 원자력안전위원회의 환경 적용 관련 인허가 절차 등을 거치는데 8년 이상 소요된다는 것이 원전업계 및 학계의 견해다. 게다가 원전 부지 인근 주민의 거센 반대도 넘어야 해 사실상 실현불가능한 방식이다.
이에 업계에선 방폐물 최종 처분장 건립과 더불어, 파이로 프로세싱 같은 사용후핵연료 처리 기술 연구에 매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파이로 프로세싱은 사용후핵연료에서 초우라늄 원소(TRU)를 분리(Pyro)한 뒤, 소듐냉각고속로(SFR)에서 소각해 사용후핵연료의 부피와 독성을 저감하는 기술을 말한다. 한국에선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028년 개발을 목표로 연구 중이다.
이 기술 개발에 성공하면 원자력을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면서 사용후핵연료 처분 부담도 줄일 수 있다. 최근 한미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원전 동맹’을 선언하면서 그간 기술 개발의 걸림돌이던 한미원자력협정에 따른 미측 동의를 받아내기 용이해진 상황도 긍정적이다. 다만 이 역시 기술 개발 및 향후 운영을 위한 처리실증 시설과 처리공장, 소듐냉각고속로 건설·운영에 대한 주민 동의를 받아야 한다.
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사용후핵연료 처리 관련 시설에는 국제사회의 승낙도 필요해 풀기 쉽지 않은 문제”라면서 “일관된 정책을 추진할 전담 독립기구, 이를 뒷받침할 특별법, 기술을 연구할 인재 육성, 그리고 무엇보다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