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대체텍스트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작아도 있을 건 다 있다! 지하실부터 옥상 테라스까지

입력
2022.04.22 04:30
11면
0 0

편집자주

집은 ‘사고파는 것’이기 전에 ‘삶을 사는 곳’입니다. 집에 맞춘 삶을 살고 있지는 않나요? 삶에, 또한 사람에 맞춰 지은 전국의 집을 찾아 소개하는 기획을 금요일 격주로 <한국일보>에 연재합니다.

서울 은평구의 단독주택 '화영주택'의 외관. 지하 1층~4층 규모의 협소주택으로 건물 외부에 띠를 두른 듯 수평으로 차곡차곡 쌓인 붉은 벽돌이 좁고 높은 집의 수직적 인상을 상쇄한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서울 은평구의 단독주택 '화영주택'의 외관. 지하 1층~4층 규모의 협소주택으로 건물 외부에 띠를 두른 듯 수평으로 차곡차곡 쌓인 붉은 벽돌이 좁고 높은 집의 수직적 인상을 상쇄한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도시 사람들이 단독주택살이를 미루는 이유는 엇비슷하다. 자금이 부족해서, 땅이 마땅치 않아서, 은퇴 후에... 서울 은평구 불광동 단독주택 '화영주택(대지면적 56㎡, 연면적 133.33㎡)'에 사는 손인성(36)씨와 아내(36)의 생각은 조금 달랐다.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고 관리가 힘든 단독주택 생활은 젊을수록 도전해볼 만하고, 엘리베이터가 있고 관리비만 내면 되는 공동주택이야말로 나이 들수록 적합한 주거 형태라는 데 생각이 미쳤다.

부부는 망설임 없이 아파트를 벗어났다. 약 17평 대지에 주차장, 이격 거리 등 이것저것 빼고 나니 층당 10평이 채 안 됐지만 용기를 냈다. 워낙 집을 좋아하는 자칭 '집사'이자 건축가(비르고 아뜰리에 소장)인 남편이 "작고 빨간 집"의 설계를 맡았다.

포근하고 따뜻한 4층짜리 협소주택

채광과 전망이 가장 좋은 3층에 배치한 주방. 남편은 이곳에서 요리하기를 즐긴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채광과 전망이 가장 좋은 3층에 배치한 주방. 남편은 이곳에서 요리하기를 즐긴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화영주택은 협소주택의 문법에 따라 층별로 공간이 구획된다. 지하 1층은 작업실(서재) 겸 창고, 1층은 응접실, 2층은 침실, 3층은 주방과 거실이 자리한다. 꼭대기 4층은 옥상 테라스와 연결된 약 2평의 자투리 공간에 세탁기와 건조기를 두고 세탁실로 쓴다. 1층 응접실은 다음달 태어날 새 식구, 아이의 방으로 바뀔 예정이다.

독특하게도 통상 아래층에 공용 공간을, 위층에 사적 공간을 두는 여느 단독주택과 달리 세탁실을 제외하면 사실상 맨 위층인 3층에 주방과 거실을 배치했다. 손 소장은 "부부가 하루에 한두 시간 정도는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다 보니, 빛이 가장 많이 들어오고 전망 좋은 3층에 가족이 모이는 공간을 두고 싶었다"고 했다. 주방이 아래층에 위치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음식 냄새가 집에 덜 퍼진다는 기능적 이점도 있다. 부부가 자주 식사를 함께하는 옥상 테라스로 올라가는 동선을 고려하더라도 3층에 침실보다 주방을 배치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

주방 맞은 편에 위치한 3층 거실. 유리 벽돌로 사생활은 보호하면서 채광은 확보하고자 했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주방 맞은 편에 위치한 3층 거실. 유리 벽돌로 사생활은 보호하면서 채광은 확보하고자 했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계단과 맞닿은 주방 쪽의 벽을 뚫어 개방감이 느껴지도록 했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계단과 맞닿은 주방 쪽의 벽을 뚫어 개방감이 느껴지도록 했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부부는 알고 지낸 지 20년이 넘은 초등학교 동창 사이다. 결혼하고서는 서울 왕십리 뉴타운의 아파트에서 전세로 살았다. 공동주택에서만 살아온 아내에게는 꽤 괜찮은 신혼집이었지만 태어나서 줄곧 단독주택에서, 그것도 한 집에서만 살아온 남편에게 아파트는 낯선 세계였다. "생활하기는 편했어요. 그런데 마음이 편안하지는 않았죠. 층간소음도 생소했고요. 내가 누구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생각에 행동이 위축되더라고요."

요리와 꽃을 좋아하고, 식물을 가꾸며 집에서 시간 보내기를 즐기는 그는 이 집이 마음 편안한 집이 되기를 바랐다. 그래서 그가 부모님과 살던 집과 같은 붉은색 점토 벽돌을 외장재로 택했다. 건물 외부에 띠를 두른 듯 수평으로 차곡차곡 쌓인 벽돌은 좁고 높은 집의 수직적 인상을 상쇄하는 데도 안성맞춤이었다. 인테리어도 붉은빛이 많이 도는 원목으로 창호, 바닥재, 가구 등을 통일해 따뜻한 느낌을 주고자 했다.

2층에 위치한 침실. 벽을 세워 계단실과 분리하면서도 작은 창을 내 답답함을 줄였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2층에 위치한 침실. 벽을 세워 계단실과 분리하면서도 작은 창을 내 답답함을 줄였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다음달 태어날 아이의 방으로 사용할 1층 응접실. 벽에는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당부했던 글귀들이 액자에 담겨 걸려 있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다음달 태어날 아이의 방으로 사용할 1층 응접실. 벽에는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당부했던 글귀들이 액자에 담겨 걸려 있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집 이름은 화목할 화(和)에 길 영(永), 화영으로 지었다. "오래도록 화목한 집"이라는 뜻으로 지금은 작고하신 할아버지가 운영했던 회사의 사명이기도 하다. 1층 응접실에는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남긴 애정 어린 글들을 액자에 끼워 걸어 두었다. 지어진 지 2년이 갓 넘은 집에서 새 것의 냄새보다 오래된 집의 포근함과 따뜻함이 풍기는 건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12평 지하실 만들어 작업실과 창고로

남편의 작업실과 창고로 이용되는 지하실. 왼쪽에 보이는 문은 지하의 외부 공간인 드라이 에어리어와 연결된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남편의 작업실과 창고로 이용되는 지하실. 왼쪽에 보이는 문은 지하의 외부 공간인 드라이 에어리어와 연결된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지하실은 서재와 창고로 쓴다. 지상층만으로는 가족에게 필요한 30평대 면적이 나오지 않자 강구한 묘책이었다. 집에서 자주 일하는 남편의 작업실이면서 철 지난 옷이나 자전거 등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물건의 수납을 담당하는 공간이다. 지하의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한쪽에는 드라이 에어리어(dry area·채광, 환기, 방습을 위해 만든 지하의 외부 공간)를 만들었다.

남편의 작업실과 창고로 이용되는 지하실. 철 지난 옷과 부피가 큰 물건을 보관한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남편의 작업실과 창고로 이용되는 지하실. 철 지난 옷과 부피가 큰 물건을 보관한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지하층을 만들게 되면, 지상층으로만 이뤄진 건물을 지을 때보다 공사비가 대략 30%가량 더 소요된다. 대신 지하는 건폐율, 용적률 산정에서 제외된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이 집에서 바닥 면적이 가장 넓은 공간은 약 12평인 지하실이다. 그는 "협소주택을 지을 때는 가용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며 "대지 선정 단계에서 북쪽이 도로와 접해 있는, 일조권 사선 제한을 덜 받는 땅을 고르거나 지하층을 고려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남편이 설계하며 가장 공들인 부분은 계단이다. 그는 "공간을 4층으로 켜켜이 쌓은 형태이다 보니 이를 연결해주는 계단의 위치, 형태, 규모가 중요했다"며 "집에서 가장 많이 왔다 갔다 하는 공간인 만큼 다른 협소주택처럼 작게 만들어 구석에 몰아넣기보다는 일반주택의 계단과 비슷한 크기로 계획했다"고 설명했다.

1층 응접실에서 바라본 계단실. 아래로 내려가면 지하 1층, 위로 올라가면 2층이다. 계단을 일반주택과 동일한 규모로 만들어 자주 오르내리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1층 응접실에서 바라본 계단실. 아래로 내려가면 지하 1층, 위로 올라가면 2층이다. 계단을 일반주택과 동일한 규모로 만들어 자주 오르내리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김창묵 건축사진작가 제공


3층과 4층을 잇는 계단은 이동 통로이자 하나의 오브제가 된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3층과 4층을 잇는 계단은 이동 통로이자 하나의 오브제가 된다. 비르고 아뜰리에 제공

특별히 3층과 4층을 잇는 계단은 회오리 모양의 흰색 원형 계단을 설치했다. 이때 계단은 단순한 이동 통로가 아닌 하나의 오브제가 된다. 계단은 햇빛, 조명을 받아 흰 벽에 곳곳에 그림자를 만들며 공간에 생동감을 더한다. 또 벽을 최소화해 공간 낭비를 없애고 개방감을 더했다. 2층에 침실과 계단을 분리하는 벽을 세웠지만 이마저도 완전히 막지 않고 계단 쪽을 향해 작은 창을 냈다.

코로나19 우울함 날린 옥상 테라스

계절 따라 용도를 달리하는 옥상 테라스. 건축주 제공

계절 따라 용도를 달리하는 옥상 테라스. 건축주 제공

집은 2020년 2월 준공됐다. 부부는 코로나19가 휩쓸었던 지난 2년간, 이 집 덕에 "안전하고 재미있게" 시간을 보냈다. 외부 공간인 옥상 테라스의 공이 특히 컸다.

동네의 오래된 건물 틈 사이로 북한산이 빼꼼 보이는 테라스는 용도가 시시때때로 변한다. 이곳에서 커피도 마시고 밥도 먹는다. 한 켠에는 상추, 루꼴라, 바질, 로즈마리를 키운다. 어느 날은 수영장, 어느 날은 불멍을 하는 캠핑장이 된다. 딩크였던 부부가 아이가 있으면 지금보다 훨씬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을 만큼, 이 집에서의 삶은 만족스럽다.

물론 단독주택은 손이 많이 간다. 비가 쏟아지면 테라스의 물이 잘 빠져나가는지 살펴야 하고, 눈이 내리면 얼기 전에 골목을 쓸어야 한다. 한겨울에는 수도, 보일러가 동파되지 않게 챙겨야 한다. 아파트에 계속 살았다면 신경 쓰지 않아도 될 일들이다. 하지만 그는 집주인에게 부여되는 이런 막중한 책임감을 부담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단독주택의 매력"으로 여긴다.

"단독주택은 손볼 곳이 끊임없이 생겨요. 지금도 제가 조금씩 집을 고치고 있거든요. 완성이라는 게 없어요. 꽃 시장에 주기적으로 가서 집 곳곳에 꽃을 꽂아 두려고 노력하고요. 집은 완공됐다고 끝이 아니라 그만큼 사는 사람들이 그 집에 애정을 가지고, 관심을 쏟고 가꿔야 진짜 우리 집이 되는 것 같아요."



송옥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