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탄소세 등 각종 규제 도입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환경 공무원들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부부터 소속기관, 국회에서까지 줄줄이 기업행
6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환경부에서만 과장급 2명이 SK 계열사로 이직했다. 모두 내부적으론 '에이스'라 불리던 이들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의원실에서 오래 근무했던 보좌관 2명도 최근 같은 회사로 자리를 옮겼다. 해당 SK 계열사는 내년 상장을 앞두고 '환경·신재생에너지 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인재영입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소속 기관도 상황은 비슷하다. 2010년 개소한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의 경우, 최근 1년간 퇴사자가 11명에 달했다. 퇴사자 대부분은 배출권거래제의 기반이 되는 '배출권등록부 시스템'과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 관련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저감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 등을 다루는 정보관리팀 소속이다.
여기엔 정보센터가 지난해 말 서울에서 충북 오송으로 옮긴 탓도 있다. 하지만 꼭 그렇게만 볼 일은 아니다. 센터 관계자는 "지리적 영향도 무시할 수 없겠지만, 퇴사자 대부분이 기업으로 간 걸 보면 기업에 대한 선호가 확실히 커진 것 같다"고 말했다.
"기후위기 대응에 도움 될 것" vs "위장환경주의 우려 커"
기업들이 환경공무원을 선호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0으로 만들기 위해 하루가 멀다 하고 환경 규제가 늘고 있는 시점에서 직접 규제를 만들고 시행해본 당국 출신만 한 전문가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환경부 안팎의 시선은 엇갈린다. 조은아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 활동가는 "기업들이 공무원들을 영입함으로써 단순 이윤 추구를 넘어 통합적 시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해 나갈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이런 기대 때문에 시민단체에서도 기업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탈석탄, 재생에너지 강화 등을 주장해온 한 기후환경 단체의 활동가가 최근 태양광 패널을 제작하는 대기업으로 옮겨간 게 대표적이다.
반면 기업들이 위장환경주의를 강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위장환경주의는 실제 친환경적이지 않지만, 마치 친환경적인 것처럼 홍보하는 것을 가리킨다. 공무원 출신이 법과 정책을 잘 아는 만큼 이를 빗겨가는 방법을 강구하는 데 집중할 수도 있다는 걱정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