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편의시설로 인식…일본과 분쟁 우려
2014년부터 年 30억 예산만 편성…집행 안 돼
경북도, 안전 부각시켜 명칭 변경·해수부 건의
경북도가 8년째 추진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독도입도지원센터를 가칭 ‘독도안전지원센터’로 바꿔 연내 착공에 나선다. ‘입도지원’이라는 명칭 탓에 환경 훼손과 일본과의 불필요한 마찰이 우려되자, 독도에 상주하는 울릉군 직원과 119구조대원, 여행객의 안전을 담당하는 안전지원센터로 방향을 바꾼 것이다.
경북도는 해양수산부(해수부)와 독도 입도지원센터의 명칭을 ‘안전지원센터’나 ‘행정안전센터’로 바꾸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명칭 변경과 함께 건물 내부도 방문객의 안전을 강화할 시설로 재편된다. ‘입도지원’이라는 이름 탓에 "탐방객이 늘면 천연보호구역인 독도가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와 독도 문제를 국제 분쟁화하려는 일본에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독도입도지원센터 건립은 해수부 사업이다. 해수부는 그러나 2014년 30억 원을 시작으로 해마다 20여 억~30여억 원의 예산만 확보할 뿐 한 푼도 집행하지 않고 불용처리 했다.
하지만 독도 탐방객은 해마다 급증하는 추세여서 입도지원센터 건립을 더 미룰 수 없다는 것이 경북도 입장이다. 지난해 독도 입도객 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에도 14만3,680명으로 2020년 8만9,374명보다 60.8%(5만 4,306명) 늘었다.
경북도 독도정책과 관계자는 “독도 입도객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지난해 3월부터는 중앙 119구조대원 2명이 상주하지만 마땅히 대기할 수 있는 시설이 없다”며 “영토주권 강화뿐만 아니라 독도를 찾는 관광객의 안전 확보를 위해서도 센터 건립이 절박하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여객선 선착장과 안전 관리를 책임지는 울릉군 독도관리사무소 직원 사무실이 크게 동도와 서도, 두 개의 섬으로 이뤄진 독도에 따로 설치돼 있는 점도 센터 건립이 시급한 이유로 꼽고 있다.
독도의 여객선 선착장은 동도에 있고, 독도관리사무소 사무실은 서도에 있다. 독도관리사무소 소속 안전요원들은 탐방객 200~300여 명을 태운 여객선이 하루 여섯 차례 동도에 들어올 때마다 서도에서 소형 고무보트를 타고 이동한다. 서도에서 동도 선착장까지 거리는 150m에 불과하지만, 독도 주변의 강한 바람과 거센 풍랑으로 배가 전복되는 위험 천만한 일이 자주 벌어진다.
독도관리사무소 관계자는 “북서풍이 부는 날은 동도로 이동할 때 배가 뒤집힐까 걱정하며 움직인다”며 “서도에는 방파제와 정박시설이 없어 크레인으로 보트를 들어 올려야 하는 등 고충이 이만저만 아니다”고 말했다.
독도 주변 어장을 관리하는 울릉읍 도동리 어촌계도 조속한 안전센터 건립을 요구하고 있다. 도동 어촌계 소속 어민 30여 명은 매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간 독도 인근에서 소라와 해삼 등 수산물을 채취하지만, 정박해 머무를 수 있는 시설물이 없어 독도 해역에 닻을 내리고 배 안에서 숙식한다.
이영빈 도동 어촌계장은 “배를 정박시킨 채 작업을 하다 보니 해녀들도 위험해 가지 않으려고 한다“며 ”안전센터가 하루 빨리 들어서 독도 어장도 제대로 관리할 수 있기 바란다”고 말했다.
독도입도지원센터는 지난 2008년 현지의 행정 수행과 탐방객 안전을 지원하고 영토주권 강화를 위해 울릉읍 독도리 동도 선착장 부근에 총 사업비 109억 원의 3층 규모(연면적 480㎡)로 설계됐다. 이어 2014년 11월 조달청 공사 입찰이 이뤄졌으나, 마감 직전 국무총리 주재 관계 장관회의에서 보류 결정이 나 사업이 중단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