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을 서두르지 않으면 21세기 후반에는 개나리, 진달래와 같은 봄꽃이 2월부터 고개를 내밀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17일 미래 우리나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봄꽃 개화일 전망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은 지난해 공개된 우리나라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과거 2, 3월 평균기온과 봄꽃 개화일의 상관식을 적용한 것으로, 인천, 부산, 목포, 서울, 대구, 강릉 등 국내 6개 지점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온실가스를 현저히 감축해 2070년쯤 탄소중립에 이르는 '저탄소 시나리오'와 현재 수준과 유사하게 온실가스 배출을 지속하는 '고탄소 시나리오'를 가리킨다.
봄꽃 개화시기, 향후 60년간 최대 27일 당겨져
분석 결과 21세기 전반기(2021~40년) 봄꽃 개화일은 현재(1991~2020년) 대비 5~7일 당겨질 것으로 예측된다. 21세기 중반기(2041~60년)와 후반기(2081~2100년)에는 봄꽃 개화일이 현재 대비 각각 5~13일, 10~27일 더 빨라진다. 과거(1950~2010년대) 60년간 봄꽃 개화일이 3~9일 당겨졌던 것을 감안하면, 향후 60년간 개화시기 변화 속도가 매우 급속히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개화일은 기온 증가폭이 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더욱 급격하다. 이 경우 21세기 후반기에 개화시기는 23~27일 앞당겨진다. 반면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10~12일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년 뒤엔 2월에 벚꽃 필 수도
봄꽃 종류별로 보면, 개나리와 진달래, 벚꽃 개화시기가 고탄소 시나리오, 21세기 후반기에 각각 23일, 27일, 25일 당겨진다. 특히 진달래의 경우, 통상 개나리보다 늦게 개화하지만 21세기 후반기에는 개나리와 동시에 개화하거나 도리어 더 빨리 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봄철 이상기온으로 2018년 3월에 서울에서 개나리와 진달래가 동시에 개화하기도 했다.
지역에 따른 차이도 나타난다. 대구의 경우 21세기 후반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벚꽃 개화일이 30일 당겨져 2월 27일에 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벚꽃 개화일이 가장 많이 당겨지는 셈이다. 개나리 개화시기가 가장 많이 당겨지는 곳은 인천(29일)이고, 진달래 개화시기는 서울(35일)에서 가장 많이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생태계 전반에 영향... 작물재배 차질 빚을 수도
문제는 봄꽃 개화시기 변화가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곤충들이 활발한 활동을 시작하기도 전에 꽃이 피어 버리면 수분이 잘 이뤄지지 않아 작물재배에 큰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 한정아 연구관은 "꽃은 봉오리 상태에서 추위를 견디는 힘이 가장 좋고, 피어날 때 그 힘이 가장 약해진다"며 "때문에 개화시기가 빨라지면 냉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커지고, 이 경우 열매를 맺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개화시기가 빠르게 앞당겨져 냉해 피해를 입는 꽃이 많아지면 과수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