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엿새 후 '대통합' 외칠 후보들의 거친 입

입력
2022.03.04 04:30
26면
0 0

편집자주

36.5℃는 한국일보 중견 기자들이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게, 사람의 온기로 써 내려가는 세상 이야기입니다.


제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일을 앞둔 3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 마련된 남영동 사전투표소에서 서울시선관위 직원들이 최종 모의시험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일을 앞둔 3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 마련된 남영동 사전투표소에서 서울시선관위 직원들이 최종 모의시험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예언가가 아니지만 난 정확히 엿새 뒤를 맞힐 수 있다. 대선 다음날인 10일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은 국립현충원을 방문한 뒤 서울 여의도 당사쯤에서 이렇게 외칠 거다. “과거 분열과 갈등을 끊고 국민 대통합을 이루겠다.” 서로 조율이 된다면 경쟁 후보 진영을 찾아 그 지도부와 악수를 나눌 거다. “앞으로 서로 존중하겠다. 야당과 소통하겠다.” 자체 해단식을 갖고선 이렇게 말할 거다. “우릴 지지하지 않으셨던 국민도 잘 챙기고 섬기자.”

선거 다음날은 이렇게 새로운 시대를 다지는 각오, 응원, 덕담, 위로의 언어로 점철하는 날이다. 누가 될지 모르지만 당선인의 말은 어느 현인보다 따뜻하며 어느 석학보다 정제될 거다. 새 시대를 향하려는 당선인의 각오는 마땅히 그래야 한다. 5년 전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부터 저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고, 10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은 “저에 대한 찬반을 떠나 국민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했다. 말의 성찬이 아닌 진실한 각오였다.

말에는 사람의 생각이 드러난다. 그러나 대통령의 말은 한 인간의 생각이 드러나는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대통령의 말은 전 국민을 향한 통치 메시지이기에. 이들이 ‘국민 모두의 목소리를 받들겠다’는 같은 말을 매번 반복하는 건 ‘대통합’을 바라는 국민들의 염원을 알기 때문일 거다. 선거를 앞둘수록 네거티브보다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는 자성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반대로 분열과 갈등을 키우는 대통령의 말은 고스란히 국민에겐 불안이 된다. 박 전 대통령에게 독선과 독단의 그림자를 발견한 것도 그의 말에서였다. “바르게 역사를 배우지 못하면 혼이 ‘비정상’이 될 수밖에 없다.”(2015년 11월10일 국무회의), “지금은 사드 배치와 관련된 ‘불필요’한 논쟁을 멈출 때다.”(2016년 7월14일 국가안전보장회의) 치열한 논쟁이 필요해 보이는 현안인데도 박 전 대통령은 그저 ‘내 말만 옳다’는 메시지를 냈다.

야당에서 경남 양산 사저의 형질 변경 절차를 문제 삼자 “선거 시기라 이해하지만 그 정도 하시지요. 좀스럽고, 민망한 일”(2021년 3월12월)이라고 말한 문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억울함에 ‘울컥’하는 심경을 표현한 건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어떤 국민들에겐 ‘울컥’이 아닌 ‘버럭’으로 다가왔을 거다. 이 또한 ‘내 말만 옳다’는 메시지로 읽히기 충분했다.

‘내 말만 옳다’는 두 사람이 있다. 상대를 향한 욕설에 가까운 말을 지지층 결집을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 누군가 흠집내기하는 말을 득표를 위한 정당한 노력으로 착각하는 것도 같다. 엿새 뒤 ‘대통합’을 외칠 가능성이 높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얘기다.

경쟁 후보의 사드 배치 공약에 “바보라서 그런가”라고 비아냥댄 이 후보는 국민의 절반을 바보로 만들었다. 여권을 “부패하고 무능하고 좌파 운동권 이념에 사로잡힌 패거리정치”라고 깎아내린 윤 후보는 남은 국민 절반에 색깔론을 입혔다. 지난 2일 밤엔 전 국민 앞에서 진흙탕 싸움을 벌였다. “거짓말의 달인이니 못하는 말이 없다”(윤 후보), “부정부패 주가 조작하는 후보는 안 된다”(이 후보) 등 두 후보 사이에 오간 말들은 TV토론이 아닌 막장 드라마의 대사였다. 불현듯 내 예언이 틀릴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든다. ‘통합’의 ‘통’도 외치지 않을 기세다. 예언을 바꿀까 싶다. 피로감의 결과, 낮은 투표율이 나타날 것이라고.

김현빈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