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일 3·1절 기념사에서 대화를 통한 대북·대일 관계 개선 의지를 거듭 밝혔다. 정부 초기 북핵 위기는 "극적인 대화로 피할 수 있었지만 대화가 끊겨 평화가 다시 취약해졌다"며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했다. 일본을 향해서는 "이웃 나라 국민의 상처를 공감할 수 있을 때 신뢰받는 나라가 될 것"이라면서도 "세계적 과제 대응에 함께하기 위해 항상 대화의 문을 열어 두겠다"고 말했다.
동북아 지역 안정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북·대일 관계 개선은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부터 중요한 외교 과제였다. 평창 동계올림픽 북측 참관으로 시작해 판문점, 평양 등에서 수차례 이어진 남북 정상의 만남과 사상 최초의 북미정상회담 중재자 역할 등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은 무시할 수 없다. 한일 위안부 합의 재검토 등 피해자 중심의 대일 외교나 일본의 부당한 수출 규제 극복도 평가할 만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남북 관계는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소득 없이 끝난 뒤로 싸늘하게 식었다. 북한은 올해 들어서만 중거리탄도미사일을 포함해 8차례나 미사일 도발을 강행했고 조만간 정찰위성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가능성마저 점쳐진다. 대일 관계 역시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강경한 태도 때문에 임기 내내 극한 대립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모두 새 정부가 떠안아야 할 과제다.
대북·대일 관계는 풀기 어려운 숙제임에 분명하지만 리더십 교체라는 기회를 살린다면 해결 못할 갈등도 아니다. 대선 주요 후보들의 대북·대일 정책 방향에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대화를 주저하지 않겠다는 의지는 한결같다. 적절한 명분을 갖춘다면 북한이나 일본 역시 이를 망설이지 않을 것이다. 특히 한일 관계는 미국도 대선 후 2개월이 중요하다며 개선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적극적인 대화 노력으로 새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가 못다 한 대북·대일 관계 개선에 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