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정말 ‘엔데믹’은 곧 올까?

입력
2022.03.02 04:30
26면
0 0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시행되던 방역패스가 중단된 1일 서울의 한 식당 종업원이 안심콜 안내문을 떼내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시행되던 방역패스가 중단된 1일 서울의 한 식당 종업원이 안심콜 안내문을 떼내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이 조만간 정점을 찍고 엔데믹(endemicㆍ전염병의 풍토병화)이 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이른 시일 내 엔데믹이 찾아올 것이고 이미 다른 나라에서는 일상적 방역 체계로 바뀌는 만큼 우리도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며, 방역패스를 1일 전격적으로 해제했다.

이처럼 정부가 ‘출구 전략’을 내놓고 있는 데는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자의 오미크론 변이 치명률이 0.08%로 계절 독감 치명률(0.05~0.1%)과 비슷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일부 감염병 전문가들도 코로나19 확진자가 3월 중순 30만 명 안팎에서 정점을 찍고 4월엔 상당히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며 힘을 보태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이달 내에 엔데믹으로 변할 것이라는 기대에 우려를 표하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여전히 하루 14만 명을 넘나들고, 누적 확진자가 1주일 새 100만 명이 늘어 300만 명을 넘어섰다. 재택 치료자가 80만 명으로 늘었고, 보름 전만 해도 200명대 수준이었던 위중증 입원 환자가 700명을 넘어섰다. 최근 하루 평균 사망자가 100명을 훌쩍 넘고 지난 2월 한 달간 영ㆍ유아 확진자가 6만 명에 달하고 재택 치료 중이던 영ㆍ유아가 잇따라 사망하기도 했다.

이렇게 불안감이 고조된 상황에서 방역패스 해제 등 방역 완화 신호를 내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정부는 방역 완화는 오미크론 유행 정점이 지난 뒤여야 한다고 설명해왔다. 게다가 확진자 추이를 잘 알 수 있는 감염재생산지수가 1.44에 이르는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당분간 수그러들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한 감염내과 교수는 “환자가 집과 길거리에서 사망하고, 의료 현장에선 중환자 대응 인력이 부족해 아우성인데 굳이 지금 방역 완화 조치를 하는 것은 미리 축제를 벌이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지난 2년간 유지해 온 방역을 정점까지 1~2주 남겨놓고 미리 푸는 것은 문제라는 것이다.

설령 코로나19 확진자가 감소해 엔데믹으로 바뀐다 해도 중환자나 사망자 수는 크게 줄지 않을 수 있다.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중환자 수의 정점은 전체 확진자 규모 정점보다 늦게 찾아와 더 길게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코로나19의 조기 종식은 모든 국민의 한결같은 바람이다. 하지만 치료제가 동네에서 처방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보급되지 않은 데다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어둠의 터널’은 아직 끝이 보이지 않고 있다. 최소한의 희생으로 엔데믹을 맞이하려면 좀 더 치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사회적 논란이 일자 갑자기 방역 조치를 잇따라 해제하는 식의 ‘편리한’ 대처로는 자칫 고통만 길어질 수 있다.

방역패스가 해제됐고 동거인 자가 격리 의무까지 면제됐으니, 이제 방역 조치는 백신 접종과 사적 모임 제한만 빼고 거의 없어진 셈이다. 중환자 병상 관리와 먹는 치료제 보급, 재택 치료 시스템 안정화 등이 선행되지 않은 방역 해제는 자칫 그동안 쌓아온 공든 탑을 무너뜨릴 수 있다. 엔데믹을 빨리 맞으려면 대응 역량 늘리기에 주력해야지 아직은 방역 고삐를 늦출 때가 아니다.

권대익 한국일보 의학전문기자

권대익 한국일보 의학전문기자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