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03년 1월 25일 대한민국 인터넷 치욕의 날, 온라인 경제 올스톱… 초유의 대란

입력
2022.01.25 05:30
0 0

2003년 1월 25일
바이러스 공격에 12시간 이상 인터넷 마비
'보안 불감증'이 부른 예고된 인재, 소송으로 이어져

편집자주

한국일보 DB 속 그날의 이야기. 1954년 6월 9일부터 오늘날까지, 한국일보 신문과 자료 사진을 통해 '과거의 오늘'을 돌아봅니다.

2003년 1월 25일 오후 2시 이후 KT, 하나로통신 등 주요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의 도메인네임서버(DNS)가 '윈도 SQL 슬래머' 바이러스 공격을 받아 무력화되면서 국내 인터넷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는 대란으로 이어졌다. 이날 전국적으로 인터넷이 마비된 가운데 서울 종로 한 PC방이 손님이 없어 텅 비어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2003년 1월 25일 오후 2시 이후 KT, 하나로통신 등 주요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의 도메인네임서버(DNS)가 '윈도 SQL 슬래머' 바이러스 공격을 받아 무력화되면서 국내 인터넷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는 대란으로 이어졌다. 이날 전국적으로 인터넷이 마비된 가운데 서울 종로 한 PC방이 손님이 없어 텅 비어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2003년 1월 27일 자 한국일보 1면, 정보화 대국 구멍 뚫렸다. 인터넷 12시간 이상 마비 ‘초유 대란’, 미ㆍ일 등 전 세계 동시 피해, “웜 바이러스 해외서 침입”

2003년 1월 27일 자 한국일보 1면, 정보화 대국 구멍 뚫렸다. 인터넷 12시간 이상 마비 ‘초유 대란’, 미ㆍ일 등 전 세계 동시 피해, “웜 바이러스 해외서 침입”

2003년 1월 24일, 대한민국 인터넷이 12시간 이상 마비되는 사상 초유의 인터넷 대란이 빚어졌다. 이전에도 해킹이나 바이러스 등으로 일부 사업자의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특정 인터넷 사이트가 접속장애를 일으킨 적은 있었으나 국내 인터넷 서비스가 전면 중단된 것은 처음이었다.

(※ 2003년 1월 27일 자 한국일보 지면 보러 가기 ☞ www.hankookilbo.com/paoin?SearchDate=20030127 링크가 열리지 않으면 주소창에 URL을 넣으시면 됩니다.)

원인은 바이러스 공격, 온라인 경제 올스톱… 경제적 피해 잇달아

2003년 1월 26일 이상철 당시 정통부 장관이 긴급회의를 마치고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2003년 1월 26일 이상철 당시 정통부 장관이 긴급회의를 마치고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날 사고는 주말인 25일 오후 2시 이후 KT, 하나로통신 등 주요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의 도메인네임서버(DNS)가 '윈도 SQL 슬래머'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아 무력화되면서 발생했다.

바이러스 공격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독일, 캐나다, 일본, 태국 등 전 세계에서 발생했고, 대한민국의 피해가 특히 심했다. 인터넷 마비사태는 26일 새벽 대부분 정상화했으나 평일 업무가 시작되는 27일에 재발할 가능성이 있어 당시 정부를 비롯해 온 사회가 위기감 속에 노심초사하였다.

인터넷 서비스 마비로 경제적 피해가 잇달았다. 당시 한국일보 보도를 살피면 PC방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고, 설 특수를 앞둔 인터넷 쇼핑몰은 매출 손실에 직격탄을 맞았다. 인터넷 뱅킹이 마비되어 이를 이용하려는 고객과 기업들의 불편도 컸다. 철도 및 항공편의 인터넷 예매도 중단돼 현장에서 구매와 발권을 해야 했다. 인터넷으로 원서를 접수하던 대학들도 혼선을 빚었다.

전자정부 홈페이지도 멈춰 서 민원인들이 큰 불편을 겪어야 했다. 전자정부의 4,000여 각종 민원 안내 및 민원 신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자 사이버민원인들의 문의 전화가 빗발쳤다.

경찰도 사이버 범죄 수사에서 손을 놓을 수밖에 없었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와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인터넷이 마비되는 동안 IP 추적 등이 불가능해 진행 중이던 수사를 중단하는 등 업무에 차질을 빚었다.

주말 동안 응급실을 가동한 대학병원 등 종합병원들은 건강보험 조회를 하지 못해 치료비를 둘러싸고 환자들과 실랑이를 벌였다. 인터넷망 마비로 건강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하지 못해 환자들이 접수창구에서 오래 기다리는 불편을 겪었다. 또한 보험카드를 가져오지 않은 환자들은 보험 처리를 하지 못해 "치료비가 많이 나왔다"는 항의가 속출했다.


인터넷대란 원인 첫 발견자는 '윈도 동호회'

2003년 1월 27일 자 한국일보 3면, 인터넷 대란 개념도

2003년 1월 27일 자 한국일보 3면, 인터넷 대란 개념도

'1·25일 인터넷 대란'이 발생했을 때 가장 빨리 원인을 밝혀내고 대처 방법을 발표한 곳은 정부 기관도 보안전문 업체도 아닌 '윈도 이용자 그룹'이라는 인터넷 동호회였다. 8만 명의 회원이 가입해 있는 '윈도 이용자 그룹'은 1998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NT 사용자들이 만든 동호회로, 회원 대부분이 네트워크 관리자와 관련 학과 학생들로 구성돼 있었다.

이 동호회는 25일 오후 2시 30분경 테스트 서버를 모니터링하다 이상을 발견, 원인 분석을 통해 오후 5시 40분에 "MS-SQL 2000의 허점을 이용한 웜의 확산이 원인"이라며 "긴급히 서비스팩 3(SP3)을 다운로드해 패치하라"고 공지했다. 이는 이날 오후 7시 사고 원인을 알아낸 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컴퓨터비상대응팀(CERT)보다 1시간여 빠른 것이었고, 오후 9시 동일한 내용을 발표한 하우리와 안철수연구소 등 보안 전문업체보다는 훨씬 빠른 것이었다.

2월 18일 정보통신부는 수사기관, 인터넷 접속서비스업체(ISP), 정보보호업체 및 연구기관의 보안전문가 12명으로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인터넷 대란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슬래머 웜으로 인한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가 원인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 웜에 감염된 서버는 초당 1만∼5만 개의 패킷을 생성, 네트워크 트래픽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켜 감염서버가 있는 기업이나 대학 등의 인터넷 접속 경로가 차단됐다.

당시 정보통신부는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에 피해가 큰 이유로 상대적으로 많은 SQL서버 감염, 국내 루트 도메인네임서버(DNS)가 부족해 국제회선 포화에 따른 국내 DNS서버 과부하, 초고속통신망 및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통한 급속한 확산, 일반 이용자들의 보안불감증 등을 지적했다.

인터넷 대란 일지2003년 1월 27일 자 한국일보

시 간 주 요 내 용
25일(토)
오후 2시
인터넷 접속 속도 느려짐.
오후 2시 10분
드림라인이 정통부 산하 정보보호진흥원에 이상 징후 발생 보고.
오후 2시 44분
혜화전화국의 DNS에 이상 패킷이 다량 유입돼 메가패스 등 KT 인터넷 가입자들의 접속이 불가능해짐. 하나로통신과 두루넷, 케이알라인 등도 DNS 및 라우터 등에 이상이 일어남.
오후 3시 44분

KT DNS에서 이상 패킷이 유입된 포트를 닫아버림.

오후 4시
정통부가 각 ISP에 대량 패킷이 이동하는 문제의 포트를 닫으라고 촉구.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가 수사 착수. 혜화전화국에 수사관 급파.
오후 7시
하나로통신의 망과 서버가 복구됨.
밤 11시
네트워크가 정상을 되찾기 시작했으나 부분적인 망 접속 장애는 계속됨.
26일(일)
오전 9시
정통부 '대국민 행동요령' 전파.
오전 11시 20분
이상철 장관의 대국민 사과문 발표.

손해배상 소송은 서비스 공급자 책임 못 묻고 마무리

여러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 인터넷 대란은 소송으로 이어졌다. 참여연대는 그해 4월 인터넷 가입자, PC방 업주 등 1,586명과 함께 KT·하나로텔레콤·마이크로소프트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이후 2006년 11월 3일 서울중앙지법은 손해배상 청구소송(2003가합32082)에서 KT와 마이크로소프트 등은 책임이 없다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피고 ISP업체들의 위법성을 인정하기 힘들고 당시 취해야 할 주의 의무를 모두 이행했으므로 원고 측 주장은 이유 없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2005년 12월 오마이뉴스와 인터파크 등이 KT 등을 상대로 낸 같은 취지의 소송에서 패소했다. 인터넷 불통에 따른 이용자와 서비스 공급자, 국가 간의 공방은 이렇게 일단락됐다.

더 많은 자료를 보시려면

www.hankookilbo.com/paoin 이 주소로 들어가시면 1954년 6월 9일 창간호부터 오늘까지 2만3,000여 호의 한국일보 신문 PDF를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hkphoto.hankookilbo.com/photosales 이 주소로 들어가시면 근현대사 주요 사건사고와 인물사진 등 100만여 건의 다양한 한국일보 고화질 보도사진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김주성 기자
자료조사= 김지오 DB콘텐츠팀 팀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