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기간 짧을 수록 더 많이 주는 보상구조
예산 문제로 타 지자체 및 민간 확산은 한계
"일부 광역단체 및 시교육청에서 도입 문의"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최근 비정규직의 고용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정수당’을 공약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공정수당은 프랑스, 영국, 호주, 스페인 등 일부 국가에서 도입한 제도로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에게 보상 성격으로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이 후보는 9일 자신의 SNS에 ‘명확행(이재명의 확실한 행복) 8번째 시리즈'로 비정규직 공정수당을 제시하고 “'비정규직=불안정·저임금'이라는 기존 관행을 변화시키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해가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비정규직 공정수당이 공공을 넘어 민간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국회, 기업, 노동자들과 함께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경기지사 때인 2021년 지방정부 최초로 공정수당을 도입했다.
경기도와 산하기관에 근무하는 1년 이하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생활임금(당시 1만540원)의 5~10%를 공정수당으로 차등 산정해 계약 만료 때 지급하는 것이다.
계약기간 2개월 이하가 최고 10%고 점차 줄어 11~12개월 근무가 5%로 가장 낮다. 10%일 때 33만7,000원이었고 5%일 때 129만1,000원이었다. 차등지급이지만 근무기간이 길면 아무래도 액수가 많아진다.
경기도는 지난해 1,646명에게 모두 9억4,100만원을 지급했다.
반응은 썩 괜찮았다.
기간제 근로자 이 모씨는 “기간제는 임금도 정규직에 비해 적은데 공정수당이 취약계층이나 기간제 근로자의 생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 모씨는 “계약이 만료되면 그 다음 일에 대한 불안감이 생기는 게 사실인데, 공정수당을 받게 되면 불안감을 덜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올해에는 비정규직 2.085명에게 모두 25억원의 공정수당을 지급할 예정이다. 인상률은 정규직과 똑 같은 5.7%다.
하지만 예산 문제 등 이유로 경기도 외에 공정수당을 도입한 시군이나 광역단체는 아직 없다. 당연히 민간 파급도 요원한 상태다.
경기도는 고용노동부에 공정수당 도입을 건의하는 한편, 경기연구원을 통해 타 지자체 및 민간 확대 방안을 연구 중으로 올 5월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공정수당 시행 후 몇몇 광역단체와 시도교육청에서 문의가 오는 등 반향이 일고 있다”면서 “아직 시행 1년이어서 정확한 평가는 어렵지만 관련자들의 호평이 이어지는 만큼 이를 제도화한다면 비정규직의 생활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재명 후보는 지난해 “고용이 불안정한 노동자가 보수까지 덜 받는 것은 중복차별”이라며 “공공부문 만이라도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에게, 비정규직 중 고용기간이 짧을수록 더 많은 보수를 줘야 한다”고 주장하며 공정수당을 도입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