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2조 엔(약 20조 원) 규모의 차세대 송전망을 정비할 방침이라고 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은 홋카이도 규슈 등 지역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이 활발하지만 수도권이나 오사카 등 대도시 지역으로 연결되는 송전망이 충분하지 않아 생산한 전기를 사용도 못하고 낭비하는 경우마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전기의 소비처인 대도시에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보내는 대용량 송전망을 정비하기로 하고, 이를 올해 6월에 처음으로 책정할 예정인 ‘클린에너지 전략’에 명시할 것을 지시했다. 정권 차원에서 임한다는 것을 밝혀, 관련 산업과 기술 개발에 민간 참여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신문은 일본의 경우 대형 전력회사들이 각 지역에서 독점적으로 사업을 벌여 오다 보니 송배전망도 지역 내에서 구축돼 있으며, 각 지역을 넘어 연결하는 송전망은 약하다고 설명했다. 유럽의 경우 아예 국경도 넘는 송전망을 구축했지만 일본은 이 점에서 뒤처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으로부터 전력을 지원받지 못해 계획 정전이 실시되기도 했다.
일본 정부의 계획을 보면 먼저 홋카이도와 도호쿠(東北), 도쿄를 잇는 수백㎞의 해저 송전선을 2030년도 목표로 건설한다. 현재 평일 낮에 홋카이도에서 도호쿠로 보낼 수 있는 전력량은 최대 90만킬로와트(kW)이지만, 이 계획이 실현되면 홋카이도에서 도쿄까지 4배인 400만kW를 보내게 된다. 규슈에서 주코쿠(中国) 지역으로 보내는 송전망은 10~15년 동안 현재의 배로 증강해 560만kW를 전송할 수 있도록 늘린다.
현재 송전망을 화력발전이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를 재검토하고, 재생에너지 할당 비중을 늘리는 등 규제도 개편한다. 차세대 송전망의 송전 방식은 현행 교류 대신 유럽이 채용하는 직류 방식을 검토한다. 먼 거리를 낭비 없이 송전 가능하다는 이유다.
차세대 송전망 건설에는 새로운 기술이나 설비가 필요하므로 큰 시장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여기에 민간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정권 차원에서 추진한다는 것을 확실히 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7월 예정인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기시다 총리가 직접 지시한 간판 정책’으로 공약에 담는다. 총 2조 엔을 넘는 투자액은 주로 송배전망을 이용하는 업체가 부담하게 될 예정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