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중심 생산비용 늘고 수익 줄어
부도율 높아지며 신용 위험도 가중
"온실가스 저감기술 개발 앞당겨야"
정부가 탄소중립의 해로 내세운 2050년,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기업들의 부도율이 약 20%포인트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탄소중립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비용은 치솟고 수익은 줄기 때문인데, 최악의 경우 30년 후 이들 기업의 주가 역시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제조업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저감기술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30일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은 '기후변화 이행리스크와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2050 탄소중립 등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행 리스크는 장기 성장기조와 금융안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2050년까지 각각 2℃와 1.5℃ 이내로 억제하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두고, 산업별로 미칠 파장과 금융 부문의 영향 등을 들여다봤다. 분석 결과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는 고탄소산업을 중심으로 생산비용 상승과 부가가치 감소를 초래했다.
특히 고탄소산업 기업의 생산비용 상승과 수익 감소는 신용위험과 시장위험을 증대시켰다. 탄소중립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이들 기업의 부도율은 1.5℃ 시나리오에선 연평균 0.63%포인트 올라 2020년 대비 2050년에는 18.8%포인트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2℃ 시나리오에선 2050년 10.2%포인트까지 오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탄소산업의 주가도 연평균 1.7∼1.8% 하락해 2050년에는 51(2℃ 시나리오)∼53.7%(1.5℃ 시나리오) 하락할 것으로도 예상됐다. 이들 기업에 대출 등을 내준 은행의 건전성까지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게 한은의 지적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재윤 한은 금융안정연구팀 과장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기술이 개발·상용화되지 않으면 우리 경제와 금융시스템이 상당한 피해를 입을 것"이라면서도 "친환경 부문 투자가 확대돼 저감기술의 개발과 상용화가 빨라지면 부정적 영향은 상당폭 완화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