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주민과 합의로 점포 폐쇄 안 하기로
내년 삼척·무안·통영 등도 점포 폐쇄 앞둔 상황
최근 5년간 없어진 점포만 1000개 육박
내년 2월 폐쇄가 예고됐던 신한은행 서울 노원구 월계동 지점이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살아남게 됐다. 은행 점포들이 해마다 수익성 명분에 밀려 사라지는 가운데, 주민들이 직접 나서 점포 폐쇄를 막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월계동 지점 문제는 일단락됐지만, 은행 입장에선 점포를 유지할 필요성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점포 폐쇄를 두고 은행과 주민 간의 마찰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주민의 힘으로 지점 폐쇄 막아냈다"
29일 신한은행 폐점에 따른 피해 해결을 위한 주민대책위(대책위)는 월계동 지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민의 힘으로 월계동 지점 폐쇄를 막아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지난달 점포 폐쇄 소식이 알려지자 기자회견·서명운동 등 직접 행동에 나섰다. 월계동 지점은 인근 주민 1만 가구가 이용하는 점포로, 고령층 이용객들이 많아 대면 창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대책위 요구였다.
주민·은행 양측 간의 합의로 월계동 지점엔 창구 직원 2명이 상주하게 됐다. 애초 신한은행은 내년 2월 지점을 폐쇄하고 '디지털 라운지'로 전환할 계획이었다. 디지털라운지는 대면 창구를 없애고 일종의 키오스크 형태의 기기로 운영되는 점포다.
월계동은 시작일 뿐… 지방 점포 폐쇄 가시화
문제는 은행들이 향후 없애기로 한 점포가 한둘이 아니라는 데 있다. 신한은행만 해도 내년 초부터 △경남 통영(통영금융센터) △전남 무안(남악점) △강원 삼척(삼척점)을 포함해 45개 점포 폐쇄를 앞두고 있다.
해당 점포들은 시·군에 유일하게 남은 점포로, 폐쇄될 경우 주민들은 주거래은행을 옮기거나 먼 거리를 이동해야만 점포 이용이 가능해진다. 이미 인근 주민과 시 관계자들이 나서서 폐쇄를 반대하는 지역도 나타났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지점 통폐합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금융 소외계층의 거래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은행의 입장도 명분이 없는 것은 아니다. 비대면 거래가 대세가 되면서, 지역 소규모 점포는 수익을 내지 못하는 ‘아픈 손가락'이 된 것이다. 은행들의 점포 폐쇄가 빨라지면서 2015년 7,281곳에 달했던 은행권 점포 수는 올해 6월까지 무려 955개가 줄어 6,326곳만 남게 됐다.
"사전 평가 강화하고 공동점포 운영 검토해야"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2월 은행들의 무분별한 점포 폐쇄를 막기 위해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 등을 의무화 했다. 하지만 형식적 절차로 은행들의 점포 폐쇄 움직임에 적절한 제동을 걸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월계동 지점 역시 사전영향평가를 거쳐 폐쇄가 결정됐기에 결국 요식행위에 그친 것”이라며 “금융당국이 은행권 공동점포를 운영하는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