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용산공원 종합계획 변경안' 확정·고시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조성하겠다던 용산공원 개장 목표 시점을 '미군기지 전체 반환 후 7년 뒤'로 변경했다.
국토교통부는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을 28일 확정·고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25일 온라인 공청회를 통해 관계기관과 전문가, 시민 의견을 수렴해 이번 최종안을 확정했다.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은 반환되는 용산 미군기지에 체계적으로 국가공원을 조성·관리하기 위한 계획이다. 2011년 최초 수립한 이후 2014년 제1차 변경을 거쳐 두 번째 변경이다. 이번 변경안은 미군기지 이전 지연, 신규 부지 편입을 통한 공원 경계 확장(243만→300만㎡), 지난 7월 발표된 국민제안문 등 그간의 여건 변화를 반영하는데 중점을 뒀다.
우선 용산기지 전체 반환 시점이 명확하지 않은 만큼 공원 조성 계획 일정이 수정됐다. 한미 간 협의에 따라 반환 일정이 결정되는 점을 고려해 완공 목표 시점은 기존 2027년(2016년 전체 반환 전제)에서 전체 반환(N년) 7년 뒤인 'N+7년'으로 변경됐다.
국토부는 반환 이전까지는 부분 반환과 부지 개방을 위해 노력하는 등 사전 준비를 하고, 반환 이후에는 오염 정화와 함께 오염 정화가 필요하지 않은 부지는 우선 착공해 공원 조성을 서두르겠다는 방침이다.
옛 방위사업청과 전쟁기념관 등 신규 편입된 부지들에 대한 기본 구상도 마련됐다. 방사청과 군인아파트 부지는 남산과 용산공원을 생태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녹지 공간으로 조성된다. 전쟁기념관과 국립중앙박물관 등은 해당 부지를 통해 용산공원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경계부로 계획된다.
아울러 공원 조성부터 운영까지 전 단계에 국민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국민 참여 플랫폼이 구축된다.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24시간 안전하며 효율적인 관리 운영이 이뤄질 예정이며, 3차원 디지털 복원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 구현 등 공원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구성될 전망이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녹지조성 시 탄소흡수율을 고려하고, 공원 내 건축물은 '제로에너지 건축'으로 리모델링한다.
김복환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장은 "이번에 변경되는 종합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용산공원을 자연과 문화, 역사와 미래가 어우러진 국민의 여가휴식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