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크리스마스 상징물 겨우살이... 기생식물이어도 중요한 생태자원

입력
2021.12.14 05:30
16면
0 0

[이은경의 생명, 과학]

편집자주

일상 속 생명과학 이야기가 격주 화요일 <한국일보>에 찾아옵니다. ‘여행하는 과학쌤’이란 필명으로 활동 중인 이은경 고양일고 교사가 쉽고 재미있게 전해드립니다.

기생식물인 겨우살이는 겨울이 돼 숙주의 잎이 모두 떨어지면 모습을 드러낸다. 종에 따라 열매의 색은 흰색 노란색 붉은색 등을 띤다. 게티이미지뱅크

기생식물인 겨우살이는 겨울이 돼 숙주의 잎이 모두 떨어지면 모습을 드러낸다. 종에 따라 열매의 색은 흰색 노란색 붉은색 등을 띤다. 게티이미지뱅크

바야흐로 트리를 장식한 불빛이 반짝거리고 캐럴이 흘러나오는 계절이 돌아왔다. 산타가 없다는 것을 아는 나이가 되었더라도 크리스마스 분위기에는 들뜨기 마련이다. 이 무렵 즐겨 듣는 팝송 중에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마이 온리 위시(My only wish)'라는 곡이 있다.

연인을 선물해달라고 산타에게 소원을 비는 가사의 노래인데 '미슬토(mistletoe)'라는 단어를 여기에서 처음 들어보았다. 한국어로는 겨우살이.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단어인데, 서양에는 겨우살이 아래에서 키스를 해도 좋다는 풍습이 있어 노래나 영화에 흔히 등장하곤 한다.

겨우살이는 키가 큰 나무의 가지 위에서 기생하는 식물이다. 사계절 내내 푸른 잎을 가지고 있어 스스로 광합성을 할 수 있지만 그 양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양분을 빼앗아 온다. 봄, 여름에는 다른 나무의 풍성한 잎들에 가려져 눈에 띄지 않다가 낙엽이 지는 계절에 비로소 모습을 드러낸다.

가을과 겨울이 되면 종에 따라 흰색, 노란색, 붉은색 등의 열매를 맺는데 크리스마스 장식에 보이는 하얗거나 빨간 열매가 겨우살이의 열매를 형상화한 것이다. 열매 속에 들어 있는 씨앗은 끈적거리는 점액으로 싸여 있기 때문에 기생할 나무에 쉽게 들러붙어 뿌리를 내린다.

겨우살이처럼 다른 생물의 양분을 이용하면서 한 종이 다른 종에게 일방적으로 피해를 주는 관계를 기생이라 하며, 기생체에게 양분을 빼앗기는 종을 숙주라 한다. 반면 두 종의 개체군이 상호작용하면서 서로 이익을 얻는 긍정적인 관계도 있다.

붉은색 열매가 달린 식물이 겨우살이다. 서양에는 겨우살이 아래에서 키스를 해도 좋다는 풍습이 있어 크리스마스를 상징하는 장식물로 사용된다. 게티이미지뱅크

붉은색 열매가 달린 식물이 겨우살이다. 서양에는 겨우살이 아래에서 키스를 해도 좋다는 풍습이 있어 크리스마스를 상징하는 장식물로 사용된다.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의 주인공인 흰동가리는 독이 있는 말미잘 근처에 서식해 천적으로부터 보호를 받고, 말미잘은 흰동가리 덕분에 먹이를 쉽게 얻는다. 흰동가리와 말미잘처럼 두 생물 종이 모두 이익을 얻는 상호작용을 '상리공생'이라 한다.

상리공생과 비교해보면 기생은 이기적이고 비합리적인 관계다. 그러나 생태계 전체의 관점에서 본다면 기생체도 나름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다른 나무들이 앙상해진 추운 계절에도 매달려 있는 겨우살이의 열매와 잎은 여러 동물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호주에서 겨우살이가 대부분 제거된 삼림은 대조군에 비해 서식하는 조류의 종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겨우살이의 잎과 열매, 그리고 이를 먹기 위해 찾아온 동물의 배설물 등이 주변의 토양을 비옥하게 해 식생을 풍부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겨우살이는 숙주식물의 양분을 빼앗는 기생식물이지만 숲의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자원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상리공생처럼 이익을 고르게 주고받는 관계만 존재한다면 세상은 더없이 아름다워질 것이다. 그러나 기생처럼 불평등한 관계 역시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새로운 시각이 열릴 수 있다. 기생체인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크리스마스 축제조차 즐길 수 없게 된 작금의 상황에 대해 먼 후대에는 새로운 평가를 내릴지도 모르는 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