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대체텍스트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한 집에 두 지붕... 따로 또 함께 삼대가 사는 법

입력
2021.12.03 04:30
수정
2021.12.03 12:46
11면
0 0

편집자주

집은 ‘사고 파는 것’이기 전에 ‘삶을 사는 곳’입니다. 집에 맞춘 삶을 살고 있지는 않나요? 삶에, 또한 사람에 맞춰 지은 전국의 집을 찾아 소개하는 기획을 금요일 격주로 <한국일보>에 연재합니다.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단독주택 '인터스텔라'는 툭 튀어나온 창과 발코니, 굽이치는 지붕, 외벽의 다양한 색이 한데 모여 생동감을 준다. 사진에서 왼쪽이 부모님 세대의 공간, 오른쪽이 자녀 세대의 공간이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단독주택 '인터스텔라'는 툭 튀어나온 창과 발코니, 굽이치는 지붕, 외벽의 다양한 색이 한데 모여 생동감을 준다. 사진에서 왼쪽이 부모님 세대의 공간, 오른쪽이 자녀 세대의 공간이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큰아이가 중학생이 되니까 서울 생활은 이제 마지노선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단독주택 '인터스텔라(대지면적 323.8㎡, 연면적 197.04㎡)'의 건축주 부부는 커 가는 아이들을 보면서 서울 생활을 정리할 때가 왔다고 느꼈다. 부부와 자녀 셋(중1, 초4, 초2), 다섯 식구가 24평대 아파트에 살기는 비좁았다. '애들에게 방 하나씩 주고 싶다'는 부모의 마음과 '영화같이 살고 싶다'는 개인의 바람, 이 꿈을 현실로 만들어 줄 방법은 집짓기였다.

자금이 문제였다. 남편(44)은 고향인 대전에 부모님 소유의 조그마한 택지를 떠올렸다. 부모님도 당신들 힘만으로는 집을 짓기 어려워 아로니아만 심어 놓은 대지였다. 땅은 있으니 일단 설계를 시작했다. 두 집 살림을 합치면 건축비도 아슬아슬하게 맞춰질 듯했다. 그렇게 지난 4월, 10년 넘게 떨어져 살던 두 가구는 한집에 모여 살게 됐다.

삼대가 사는 집, 따로 또 같이

현관 정면에 보이는 게 집의 마당이다. 마당을 중심으로 두 개의 매스가 직교하며 분리돼 있다. 왼쪽이 자식 세대, 오른쪽이 부모님 세대의 공간이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현관 정면에 보이는 게 집의 마당이다. 마당을 중심으로 두 개의 매스가 직교하며 분리돼 있다. 왼쪽이 자식 세대, 오른쪽이 부모님 세대의 공간이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집은 두 가구의 동선이 철저히 분리돼 있다. 현관과 마당, 주차장만 공유한다. 집 안에 있어도 들고 나는 것을 서로 잘 모를 정도다. 현관에서 왼쪽으로 가면 부부와 아이들이 사는 공간, 오른쪽으로 가면 부모님이 사는 공간이 나온다. 주방도 각기 하나씩 있어 따로 쓴다. 내부 인테리어도 취향대로 달리했다. 부모님 세대는 블라인드와 흰색 조명을, 자녀 세대는 커튼과 노란색 조명을 달았다. 한 집이지만 실은 두 집인 것처럼 느껴진다.

설계를 맡은 김동희 KDDH 건축사사무소 소장은 "부모와 자식간의 영역을 지켜주는 것이 대가족의 삶을 조화롭게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며 "각자의 독립적 공간을 배려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마당에도 조경 경계선을 그어 각자의 영역을 상징적으로 구분했다.

자녀 세대의 주방. 한 집에 주방을 두 곳 마련해 세대별로 따로 쓰도록 했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자녀 세대의 주방. 한 집에 주방을 두 곳 마련해 세대별로 따로 쓰도록 했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부모님 세대의 주방. 한 집에 주방을 두 곳 마련해 세대별로 따로 쓰도록 했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부모님 세대의 주방. 한 집에 주방을 두 곳 마련해 세대별로 따로 쓰도록 했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꺼릴 법도 한데, 아내(39)는 시부모님과의 '합가'에 흔쾌히 동의했다. 평소 두 분의 독립적인 성향을 잘 알고 있어서다. 두 가구는 실제 함께 산다기보다 "집을 같이 지은 공동 투자자"처럼 지낸다. 한 집에 살아도 저녁을 함께 먹는 날이 한 달에 한 번이 채 안 된다. 지난 추석 때는 '우리 제주도 가니 너네는 알아서 놀아라'라며 여행조차 함께하길 권하지 않았다.

70대 할아버지부터 아홉 살 손녀까지, 삼대가 사는 집의 의미는 형태로 표현했다. 집 외관은 툭 튀어나온 사각형의 창과 타원형의 발코니, 굽이치는 지붕이 한데 모여 생동감이 넘친다. 건축가는 "서로 다른 사람이 만나 가족을 이루듯이 삼각형, 동그라미, 빗변 등 다양한 요소가 큰 그릇에 담긴 하나의 조합으로 읽히기를 바랐다"며 "지붕이 굴곡지며 이어져 있는 것처럼, 삼대의 삶이 이 집에서 연결돼 흐른다는 의미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집 이름도 남편의 인생 영화인 '인터스텔라'처럼, 이 집에서 시대를 초월한 가족간의 소통이 이뤄지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지었다.

공간의 레드카펫이 되는 계단

"계단이 오브제처럼 보였으면 좋겠다"는 건축주 요구에 건축가는 계단을 숨기지 않고 과감히 드러냈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계단이 오브제처럼 보였으면 좋겠다"는 건축주 요구에 건축가는 계단을 숨기지 않고 과감히 드러냈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집의 중심은 1층에 위치한 주방 겸 거실이다. 특히 주방 앞 큰 창에 놓인 계단은 이 집에서 건축적으로 가장 중요한 장소다. 단독주택에서 계단은 보통 천덕꾸러기로 취급된다.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만큼 공간을 차지해 잘 안 보이는 곳에 숨기는 게 일반적이다. 그나마 계단 밑을 수납 공간으로 만드는 게 최선으로 여겨지곤 한다.

반면 이 집은 계단을 숨기지 않고 드러내는 방식을 택했다. 계단 밑 공간이 열려 있는 투시형 계단을 창 옆에 과감히 배치했다. "계단이 오브제처럼 보였으면 좋겠다"는 건축주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건축가는 이를 위해 계단 난간을 얇게 계획해 주방에 섰을 때 계단 뒤편에 놓인 창을 통해 마당이 잘 보이도록 했다. 낮에는 남서향으로 나 있는 창에서 들어오는 햇빛이 만든 마당의 나무 그림자가 집에 드리운다. 건축가는 "계단은 공간을 장식하면서도 계단을 오르내리는 사람을 공간의 주인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며 "계단이 이 공간에서 레드카펫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층에서 다락으로 올라가는 계단. 살짝 비틀어진 계단 사이로 보이는 틈은 색다른 공간감을 만든다. 왼쪽은 세 자녀의 방이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2층에서 다락으로 올라가는 계단. 살짝 비틀어진 계단 사이로 보이는 틈은 색다른 공간감을 만든다. 왼쪽은 세 자녀의 방이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2층에서 다락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곧게 쭉 뻗어 있지 않고 대각선으로 틀어져 있다. 자연스레 1층에서 2층으로 올라오는 계단과 위치가 조금 어긋나면서 그 벌어진 틈이 색다른 공간감을 만든다. 살짝 비틀었을 뿐인데 좁고 넓은 공간, 넓고 좁은 공간이 만들어지며 집에 리듬감을 준다. 천창이 있으면 하늘을 올려다보게 되듯이 가족은 계단의 틈에서 예상치 못한 재미를 발견했다. "2층 계단에 서서 1층 계단을 내려다보면 서로 얼굴이 보여요. 그래서 그 틈으로 필요한 옷을 던져 주기도 하고요. 이런 작은 차이와 폭으로 서로 다른 층을 하나로 이어주는 느낌이 좋습니다."

집이 놀이터, 여행지가 됐다

2층의 복도 공간. 벽면에 설치된 노란색 블록이 빛을 받아, 맞은편 흰 벽에 시시각각 다른 무늬를 그린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2층의 복도 공간. 벽면에 설치된 노란색 블록이 빛을 받아, 맞은편 흰 벽에 시시각각 다른 무늬를 그린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2층의 복도 공간. 벽면에 설치된 노란색 블록이 빛을 받아, 맞은편 흰 벽에 시시각각 다른 무늬를 그린다. 송옥진 기자

2층의 복도 공간. 벽면에 설치된 노란색 블록이 빛을 받아, 맞은편 흰 벽에 시시각각 다른 무늬를 그린다. 송옥진 기자

빛과 그림자가 만들어 내는 집의 풍경은 상당히 감각적이다. 2층 복도 공간이 대표적이다. 벽면에 설치된 세 장의 노란색 블록이 빛을 받아, 맞은편 흰 벽에 시시각각 다른 무늬를 그린다. 건축주는 "날씨나 시간에 따라 빛이 그리는 모습이 다양하다"며 "특별한 벽지를 바르거나 그림을 걸지 않아도 벽 자체가 예쁜 그림"이라고 말했다. 건축가는 "사람이 살면서 거창한 게 아니라 소소한 데 기쁨을 느낀다"며 "우리가 집에서 누구나 마주하는 벽, 창, 계단에서 느끼는 감각이 좋아야 된다"고 강조했다.

부부는 대전으로 이사 오고 라이프스타일이 완전히 바뀌었다. 서울(도시)에서의 삶을 무조건 나쁘다고만, 대전(교외)에서의 삶을 무조건 좋다고만 할 수 없다고 했다. 서울의 아파트는 좁은 데다 공기가 나빴고, 대전의 단독주택은 청소나 관리가 힘들다. 출퇴근도 힘들어졌다. 남편은 서울과 대전을 매일 3시간 30분씩 오간다.

진입도로에서 바라보는 집의 외관. 지붕이 굴곡지며 이어져 있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진입도로에서 바라보는 집의 외관. 지붕이 굴곡지며 이어져 있다. 이한울 건축사진작가 제공

그래도 분명한 건 지금의 삶이 재미있다는 것이다. "마당에서는 다른 데서 느낄 수 없는 감동이 있어요. 라면 하나를 먹더라도 마당에서 먹으면 다르죠. 그래서 '좋다' 하다가도 잔디 깎아야 되고, 커피 마시다가도 나무 묶고 낙엽 쓸고 하거든요. 그렇게 일하다 놀다 하는데, 이런 게 재미있거든요. 조용해서 그런지 잠도 푹 자고요."

집은 곧 놀이터가 됐다. 예전에는 가족 모두 주말마다 집 밖에서 사람들을 만났지만, 이제는 친구들이 집으로 온다. 여행 가는 횟수도 부쩍 줄었다. "일상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여행을 가는데, 여기 이사 와서는 굳이 일상에서 벗어날 이유를 못 찾게 됐어요. 길어진 출퇴근 시간은 이런 삶을 누리는 월세라고 생각해야 되지 않을까요."

대전= 송옥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