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이재명의 눈물, 민주당의 반성

입력
2021.11.29 18:00
26면
0 0
이충재
이충재주필

여당, 선대위 개편에도 ‘원팀’ 안 돼
오만, 무능이 낳은 ‘정권심판론’ 강고
사과와 혁신 다짐에 진정성 있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9일 조선대 사회과학대에서 열린 '광주 대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말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9일 조선대 사회과학대에서 열린 '광주 대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말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빠르게 당을 장악하고 있다. 당직을 개편하고, 선대위를 측근 중심의 실무형으로 꾸렸다. '전권’을 위임받으면서 사실상의 당대표가 된 것이다. 대선 후보에게 ‘당무우선권’을 주는 국민의힘과 같은 절대 권한이 부여된 셈이다. 하지만 새 단장을 한 것은 신발끈을 고쳐 맨 것에 불과하다. 이 후보와 민주당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민주당에 대한 유권자들의 냉소적 시각은 기득권화됐다는 배신감에서다. 한국일보가 지난해 실시한 조사에서 민주당 586 의원들은 집권 초 대비 평균 10억 원 이상 재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의 의원 부동산 전수조사에서 투기 의혹을 통보받은 의원은 여야 동수였다. 한때 사회적 모순을 비판하며 개혁을 주장했던 이들이 집권당 주류가 되면서 권력과 부를 챙긴 기득권층이 됐다고 볼 근거다.

‘웰빙당’으로 변한 민주당 의원들에게 대선은 내 선거가 아닌 남의 선거나 다름없다. 임기를 한참 남긴 그들에게 이번 대선은 공천과 무관한 선거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권이 야당에 넘어가도 민주당 1당 지위는 굳건하다. 선거는 누가 더 절박한가의 싸움인데 그런 면에서 국민의힘은 훨씬 간절하다. 윤석열 후보 캠프를 움직이는 힘은 상당수 원외 인사들이다. 정권을 찾아와야 국회 입성의 꿈을 이룰 수 있기에 의욕이 넘친다.

더 심각한 건 당내 갈등과 분열이다. 겉으로는 용광로를 강조하지만 속은 곪아 있다. 이재명에게 ‘역컨벤션 효과’를 안긴 이낙연 전 대표는 당 주변에서 모습이 사라졌다. 지난 주말 이 후보의 호남 매타버스 일정 때는 다른 지역 일정을 이유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재명과 민주당의 호남 지지율이 뜨지 않는 것은 남루해진 ‘원팀’의 반증이다. 제 눈의 들보는 보지 못하고 홍준표의 ‘윤석열 디스’에 미소 짓는 게 민주당의 현주소다.

’안 되는 집에는 수백 가지의 이유가 있다’는 말이 있지만 이 후보와 민주당 지지율이 동반부진하자 서로 책임을 전가하는 모습도 보인다. 이 후보가 민주당의 이재명이 아닌 이재명의 민주당을 만들겠다고 하자 당 일각에선 “마음대로 하고 잘못되면 책임져라”는 식의 냉기류가 흐른다.

도덕적 흠결이 적지 않은 이 후보로서도 별 할 말이 없는 처지이긴 하다. 형수 욕설과 여배우 스캔들로 상당수 여성 지지자들이 등돌린 것은 오로지 그가 감당해야 할 몫이다. '본ㆍ부ㆍ장(본인·부인·장모) 의혹’으로 발목이 잡힌 윤 후보와 도긴개긴으로 묶일 수밖에 없는 한계가 뚜렷하다.

대장동 늪에서 좀처럼 헤어나오지 못한 것도 자신 탓이다. 이제 와서 조건 없는 대장동 특검을 외치지만 많은 국민은 이미 이 후보 연루 의심을 깊이 담아둔 터다. 되짚어보면 처음 특검을 강력히 반대한 것도 그였다. 전 국민 재난지원금과 음식점총량제 등 다듬어지지 않은 공약 헛발질도 전략적 미스다.

이재명과 민주당 앞에는 난공불락의 정권심판론이 가로막고 있다. 다른 누가 만든 게 아니라 집권세력의 위선과 오만, 무능함이 스스로 쌓아 올린 철옹성이다. 보수 야당이 자신들을 궤멸시킨 정치 신인에게 당을 내주고, 벌써 정권을 잡은 듯 논공행상을 하는 것도 ‘닥치고 정권교체’ 여론이 그만큼 공고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지난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이 참패했을 때 ‘천막당사라도 쳐라’는 칼럼을 썼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야당 대표 시절 모래 벌판에 천막당사를 세워 당을 살려낸 것을 배우라는 의미였다. 하지만 그후에도 민주당은 달라지지 않았다. 초선 의원 몇 명만 입바른 소리를 내다 만 게 고작이다. 그러다 ‘응징투표’가 눈앞에 다가오자 다시 고개를 조아린다. 지금의 반성과 사죄, 혁신의 다짐은 그래서 진정성이 있는지 묻고 싶다.

이충재 주필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